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캐리어 교수는 사람의 걸음걸이 방식이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한다는 실험 결과를 ‘실험
생물학
저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대상자 27명을 대상으로, 3가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걸어보도록 주문했다. 첫 번째 그룹은 고양이처럼 걷도록 했고, 두 번째 그룹은 말처럼 발끝으로 걷게 했다. 마지막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화석이 되기 좋은 환경이었다는 뜻이므로 화석이 나올 가능성이 더 높아요. 또 고
생물학
자들은 서해 소청도 등에서 발견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연구하기도 해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옛날에 살던 미생물, 특히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가 물 속의 작은 알갱이와 엉켜 단단하게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일반인도 에피콜렉트를 이용해 과학적 연구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학교의
생물학
수업에 접목해 학교별로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분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페리얼대 연구팀은 에피콜렉터를 결합한 연구 사이트(spatialepidemiology.net)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멸종 위기에 처한 양서류 연구도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유전자유아힘 바우어 지음 | 이미옥 옮김 | 생각의 나무 | 256쪽 | 1만 5000원독일 유명 신경
생물학
자인 저자는 생물의 기본 원칙은 다윈이 말하는 경쟁이 아니라 ‘협력’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다윈주의자들이 알면서도 고치지 않은 진화에 대한 핵심이론을 풀었다. 이 책을 읽으면 진화론은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명일 경우 300명을 감당하려면 뇌가 남들보다 4배 더 좋거나 4배만큼 더 일해야 한다. 이는
생물학
적으로 불가능하다. 던바는 기본적으로 원숭이와 인간의 신피질 비율을 비교해 100~230명이라는 추정치를 얻었다. 친구의 수가 오직 신피질 비율에만 의존한다면 신피질 비율이 평균보다 10% 적은 사람과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실망으로 바뀌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이스라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생물학
과 엘리저 리프쉬츠 교수팀은 2006년 4월 18일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토마토에서 FT에 해당하는 유전자인 SFT의 mRNA가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그 뒤 닐슨 교수는 ... ...
뱀장어에 고등어 꼬리 붙이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만일 고등어처럼 움직이는 뱀장어와 뱀장어처럼 헤엄치는 고등어가 경주를 펼치면 누가 이길까.미국 미네소타대 기술연구소 포티스 소티로폴리스 교수팀이 컴퓨 ... 결정된 것은 유속환경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이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
생물학
’ 2월호에 발표됐다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관리자인 미국과학자연맹의 멜라니 스테그맨 박사는“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분자
생물학
을 비롯한 과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며“게임으로 동기부여를 받은 학생이 비슷한 게임을 개발해 배포하는 사례도 있다”고 소개했다.기업들도 직원교육을 목적으로 기능성 게임을 도입하는 분위기다.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따라 인격과 인생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이것을 ‘빈 서판’이론이라고 한다. 하지만
생물학
과 유전학이 발달하면서 지능이나 성격이 태어날 때부터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DNA가 동일한 쌍둥이 형제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 입양돼 자라더라도 신념이나 행동이 매우 유사하다는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김 교수는 “정든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을 떠나서 아쉽지만 그동안 부족함을 느낀
생물학
과나 의과대학과의 원활한 공동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을 것 같다”며 물리와 전자, 생명, 의학이 어우러지는 융합형 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의지를 내비쳤다. 한층 더 깊어지고 넓어질 그의 융합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