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빗자루
비율
상심
슬픔
설움
애상
애도
d라이브러리
"
비
"(으)로 총 2,6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정사각형 ABFE와 직사각형 EFCD로 나누지. 직사각형 EFCD는 세로와 가로의
비
가 1.62:1의 황금
비
율을 유지하고 있어.이때 직사각형 ABCD의 대각선 BD와 선분 EF가 만나는 점을 G라고 해 봐. 점 G는 직사각형 EFCD를 정사각형 GFCH와 또 다른 직사각형 EGHD로 나누는 위치에 있어. 다시 대각선 CE를 그어서 ...
이상은 필명, 본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누구도 흉내내기 어려운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그렸어.‘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
밀’이라는 영화제목을 본 것 같은데, 그거랑 같은 거예요?그래. 그 영화는 이상이 건축가로 이름을 날릴 때 쓴 ‘건축무한육면각체’가 어떤 암호일지 모른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영화란다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피해를 입을 것이다.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이 터졌을 때의 유럽 지역처럼 항공노선이 마
비
돼 지역 전자산업에 악영향을 줄 것이다. 주변 국가의 경제, 산업 사회에 심각한 도미노현상을 파급시킬 수 있다. 화산재의 양이 많을 경우 마이크로미터(㎛, 1㎛=10-6m) 크기의 화산재가 에어로졸 상태로 ... ...
8분마다 기상예보가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제공하는 자료는 영상자료와 기상분석자료다.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는 기상자료 서
비
스를 담당한다. 먼저 기상탑재체의 센서가 관측한 원시자료를 수신한 뒤, 처리과정을 거친 영상자료를 만든다. 만들어진 자료는1670~1710MHz 대역으로 위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낸다.기상예보를 위해서는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정확히
비
례함을 확인했다. 즉 부리가 가장 큰 큰 땅핀치는 부리가 작은 작은 땅핀치에
비
해 부리 말단과 위쪽에서 Bmp4의 mRNA 농도가 훨씬 높았다. 즉 Bmp4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부리의 발달 과정에서 신호분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가부리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최근에는 여름철에 해변 뿐 아니라 도심에서도 핫팬츠(아주 짧은 반바지)나 민소매 옷차림의 여성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런 패션이 일상화되면서 이 ... ‘덜 먹고 더 활동하라’는 상식이 아닐까. 물론 여전히 많은 과학자들은 ‘기적의
비
만 치료제’를 찾는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지만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안을 제시했다. 한강 본류를 손대기 전에 눈에 보이지 않는 도심 속의 작은 하천들을 정
비
하자는 내용이다. 동네의 실개천을 포함한 이런 작은 하천을 ‘최상류천’이라고 부르는데, 도시에서는 많은 경우 도로로 메워지거나 하수도로 바뀌었다. 이런 최상류천을 다시 하천으로 복원해 물이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뜻은 뭔가요?선생님 : π는 원주율이라고도 하는데, 원둘레의 길이와 원의 지름 사이의
비
의 값이랍니다. 그래서 원의 지름에 π배를 하면 원둘레의 길이를 구할 수 있어요.원둘레의 길이 = 원의 지름 × π사랑 : 그러면 앞에서 동전이 굴러간 거리는 2cm × π = 2π cm가 되겠네요. 3cm짜리 동전이라면 3π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공인구인 피버노바의 불꽃 무늬를 닮았다매는 먹이를 따라갈 때 등각 나선을 따라
비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선보다 직선으로 날면 훨씬 더 빠를 텐데, 매는 왜 나선으로 나는 걸까? 이유는 매의 눈이 양 옆에 있어서 머리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에 있는 목표물을 볼수 있는 각도가 40˚이기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베어링일수록 오래 쓸 수 있다는 점입니다. 원에 가까워질수록 지름에 대한 원주의
비
율은 점점 더 π에 가까워집니다. 과거 수많은 수학자가 π 값을 구하기 위해 많은시간을 투자했습니다. 현재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π 값을 더 정확히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