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이용해서 초콜릿 분수에서 돔을 타고 내려오는 초콜릿 폭포의 두께, 속도, 떨어지는 방향을 수학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초콜릿을 밑에서 위로 끌어올리는 펌프를 원통좌표로, 반구를 타고 흘러내리는 돔 부분을 구면좌표로, 자유낙하하는 초콜릿 커튼 부분을 종 모양으로 떨어지는 물 문제를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류했다는 뜻이다. 1950년대 이후 과학기술의 진보와 거대화, 학제간 융합화 등의 연구 방향이 주를 이루면서 공동연구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노벨상에서도 공동 수상이 늘었다. 다만 공동 수상자들의 협력 유형은 분야에 따라 달랐다. 한국연구재단의 분석 결과 수상자끼리 협력 연구를 한 경우는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GPM은 압력이 101 325 N/m²일 때 백금의 응고점 온도에서 흑체 60만 m² 분의 1 면적이 수직방향으로 뿜어내는 빛의 밝기를 1 칸델라로 정의했다. 흥미롭게도 이런 연구는 양자역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는 고전 전자기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흑체복사를 설명하기 위해 ...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못했다. 내신과 수능을 병행하며 준비하던 백 씨는 6월 모의고사 이후 정시모집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는 “6월 모의고사 결과가 그리 좋지 않았다”며 “내신을 챙기려면 수능에 포함되지 않는 과목도 함께 공부해야 하는데, 여러 과목에 힘을 분산하는 것보다는 수능 하나에 집중하는 편이 ...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약시는 특별한 이상 없이 한 쪽 눈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으로, 대개 두 눈의 방향이 다른 사시와 두 눈의 굴절도가 다른 부동시를 동반한다. 에이미 차우 캐나다 워털루대 검안및시각학과 연구원은 사시약시 환자 8명과 부동시약시 환자 9명, 그리고 정상 시력을 가진 15명을 대상으로 ... ...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통계가 알려주는 최고의 캐릭터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어떤 방식으로든 경주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핸들링 값이 크면 타이어가 잘 꺾여서 방향을 잘 바꿀 수 있고, 마찰력이 크면 카트가 덜 미끄러져서 드리프트 기술을 쓸 때 유리하지요.최종 능력치는 캐릭터와 운전 장비의 능력치의 각 요소를 합해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와 카트의 무게,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대해 크게 관심이 없었다”며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 동물원의 현실을 알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공감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과장도 “현재 한국의 동물원은 동물 복지를 위해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다”며 “모든 동물원이 함께 발맞춰 변화할 수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사이에 사람이 있다면 안테나는 사람을 회피해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다시 계산하고 방향을 바꾼다. 현재 중거리 전송은 사방이 벽으로 이뤄진 방을 가정하고 설계되는 만큼 직선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벽에 반사돼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계산한다. 사람이 계속 움직이더라도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두 개로는 광집게를 구현하기 매우 어렵다. 특히 두 개의 레이저를 정확히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사하기란 권총 결투에서 총알을 총알로 쏴서 맞추는 것보다 더 어렵다.그때부터 애슈킨 연구원은 광집게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드디어 16년 뒤인 1986년 그는 획기적인 광집게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암줄기세포 겨냥한 항암치료법 속속 암줄기세포의 존재는 항암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일단 재발의 원인이 암줄기세포라면 항암 치료를 할 때 이 세포들을 확실히 없애는 게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암줄기세포를 목표로 하는 항암 치료법 연구가 여러 방면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