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일본 수학자, K-드라마 보고 n차원 별자리 정리 풀었다고?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현빈 주연의 드라마 ‘눈의 여왕’을 보고 알게 된 수학 문제를 15년 동안 연구한 일본 수학자가 있습니다. 세키 신이치로 일본 아오야마 가쿠인대학교 교수가 그 주인공인데요. 2006 필즈상 수상자 테렌스 타오 교수의 연구인 ‘그린-타오 정리’가 드라마에 나온 것을 보고, 감명받아 공부를 시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학자 : 대수(代數)라는 단어를 보면 대명사(代名詞) 할 때의 대(代)처럼 대신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그런 점에서 보면 단순히 x라고 표기된 것이 의미 있다기보다는 어떤 대상을 기호로 대신 나타내는 기호화가 이뤄진 게 수학사에서는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5라는 숫자가 있으면 ...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이 논문의 주제를 발전시킨 논문으로 2012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수여하는 과학기술우수논문상, 2016년 대한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앞으로의 목표를 묻자 서 교수답게 두 가지를 꼽았다. 가수로서는 ‘50세가 되기 전에 자작곡으로 음반 내기’이고, 수학자로서는 ‘현재 풀고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난 주로 어떤 문제의 증명 과정이 신기하고 재미있어서 주기적으로 복기하곤 한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 시험은 100% 서술형으로 써야 한다. 그래서 이 공부법이 빛을 발했다. Q. 선행학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선행학습을 반대하지 않는다. 선행학습을 하면 한번 들어본 개념과 ... ...
- [에디터 노트 ]‘실친’을 만들 수 있는 곳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하반기 개편에 참여해 또 한번 과학동아를 뒤바꿀 겁니다.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과학동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재밌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도와주신다면요. 함께해 주실 거죠 ... ...
- [이달의 뉴스] 비처럼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 호흡기 질환 유발 가능성도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세 플라스틱이 하루 평균 1m2 당 약 5000개가 쌓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환경과학및기술’ 2022년 12월 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est.2c05850 이는 1년에 약 74t(톤)에 달하는 양이며, 플라스틱 병 약 300만 개에 해당한다. 공기 중 미세 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문가들은 모두 AI는 어디까지나 ‘도구’라고 입을 모아 강조했다. 인문학자든 과학자든. 이 HK+ 사업단장은 “AI는 인간의 기능 일부를 대체할 뿐 총체적 존재 자체를 대체할 수는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를 거울 삼아 인간과 인간 간의 문제에 더욱 많은 관심을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물론 물리는 어렵지만, 어렵기 때문에 도전할 만하고 또 보람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과학동아 독자분들에게 열정적인 사람이 되라는 조언 드리고 싶습니다. 또 항상 생각을 크게 하세요. 꿈과 목표를 높고, 크게 잡으며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실수를 하거나 질문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쥐의 경우, 임신 한 번에 대략 6마리에서 10마리의 태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배아줄기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며 실험대에서 배아의 착상과 발달을 모방합니다. 배아줄기세포는 이론적으로 불멸이며 동시에 동물의 모든 신체로 분화할 수 있기 때문에 태아의 발달 과정을 잘 ... ...
- 어떻게 하면 가장 맛있는 감자칩을 먹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삭’이다. 바삭함은 대표적인 ‘음식을 맛있게 만드는 질감’으로, 이전의 식품과학자들은 바삭함이 음식의 신선도와 관련되어 있다고 이해했다. 그렇다면 바삭함은 음식의 질감하고만 관련되어 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스펜스 교수는 20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프링글스 180통을 먹이며 감자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