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01
전달RNA의 작동 방식에 대한통찰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흥미롭다. 1974년 8월 2
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김성호 교수(당시 미국 듀크대 의대 생화학과 교수)의 논문은 위의 문장으로 시작하고 있다. 김 교수와 동료들이 밝힌 전달RNA(tRNA)의 3차원, 즉 입체구조는 ... ...
오줌으로 손 씻는 멋쟁이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오줌을 손에 비비는 행동은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라고 과학잡지‘네이처’9월 7
일자
에 발표했어요.아니, 그걸 어떻게 알아 냈죠?연구팀은 우리가 오줌으로 손발을 씻을 때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했어요. 그 결과 오줌으로 손을 씻어도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변하지 않았다는 말 씀! ... ...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12
지문을 3차원으로 보여주는 휴대용 지문 단층촬영기를 개발해 ‘응용물리학저널’ 11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 이 기기는 물체의 표면에 남은 지문 잔여물을 초음파를 이용해 감지한다. 초음파는 물질이 빽빽한 정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보여주는데, 물체 표면과 손가락이 닿은 뒤 잔여물이 남은 곳의 ... ...
머리카락 굵기도 유전자가 결정
과학동아
l
200712
머리카락의 굵기를 결정하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네이처 지네틱스’ 인터넷판 10월 21
일자
에 발표했다.직모 또는 곱슬머리가 유전된다는 사실은 원래 잘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머리카락의 굵기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황인종의 머리카락은 흑인종보다 30%, 백인종보다 50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12
가진 아이들의 지능지수가 높아진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11월 5
일자
에 발표했다.지능지수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지 후천적으로 달라지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돼 왔다. 또한 모유 수유는 후천적으로 지능지수를 높인다고 알려져 왔지만 분명한 근거는 없었다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12
라플라스 연구소는 산불이 번지는 경로와 조건을 연구해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가옥 한 채와 주변 또 이에 해당하는 넓이의 풀숲을 9개 구획으로 나누고 불이 났을 때 확산되는 방향을 살폈다.그 결과 풀과 나무가 많은 숲에서는 이미 타버린 곳엔 불이 붙지 않아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12
최초의 호모 코쿠엔스, 즉 요리를 발명한 인류는 누구일까. ‘네이처’ 10월 18
일자
는 16만4000년 전 현생인류가 해산물을 요리해 먹던 흔적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실었다. 화석과 유전학적 계산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15만~2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고 추정되므로 이번 발견은 호모 ... ...
비누는 물고기 떼의 '적'
과학동아
l
200712
무리 지어 사는 습성을 방해해 생존 능력을 줄인다는 사실을 ‘영국왕립학회보’ 10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4-NP는 비누나 살충제, 그리고 하수처리 시에 널리 쓰이며 사람이나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물고기가 4-NP에 오래 노출되면 여성호르몬이 과다증식하는 ... ...
잘린 다리 다시 나게 하는 비밀 찾았다
과학동아
l
200712
연구팀은 신경말단에서 발현되는 nAG라는 단백질이 그 주인공이라고 ‘사이언스’ 11월 2
일자
에 발표했다. 신경말단에서 발현된 nAG는 아체의 표피세포도 nAG를 발현되도록 유도한다.한편 잘린 다리의 말단에 생긴 아체는 잘려 나간 부분으로 정확히 분화해야 한다. 다리의 위치 정보를 주는 단백질은 ... ...
피 검사로 알츠하이머 진단
과학동아
l
200711
수치가 높으면 알츠하이머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메디슨’ 온라인판 10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약한 인지장애자부터 중증 알츠하이머 환자까지 혈액 샘플 259개를 검사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환자 혈액에서는 세포 간 메신저 역할을 하는 단백질 18개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