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45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터가 핵융합 연구 돕는다
과학동아
l
2014.03.23
크지 않은 것은 실물 크기로 프린팅하기도 했다. 마크 리틀 연구원은 “
기존
방법을 같이 쓰긴 하지만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면 가볍고 다루기 쉬운 목업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도 저렴하다”며 “실제 설비와 같은 모형을 보고 만질 수 있게 되면서 설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 ...
진화의 잣대로 인간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14.03.23
저명인사가 된 브루스 립튼 박사다. 저자는 생명체의 운명은 오직 DNA에 달려 있다는
기존
과학계의 뿌리 깊은 믿음을 흔든 대표적인 신생물학자이다. 립튼 박사의 최신작 ‘허니문 이펙트’는 믿음과 의식을 통해 어떻게 우리가 원하는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지를 세포생물학, 양자물리학,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교수)은 “2015년에 미국의 라이고(LIGO) 중력파 검출기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감도가
기존
의 것과 비교해 10배 이상 높아지기 때문에 중력파를 직접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력파를 직접 검출하면 우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하는 ... ...
복잡한 쇼핑몰에서 길 잃는다고? 이제 걱정 끝
과학동아
l
2014.03.20
손쉽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이 같은 걸림돌을 제거한 것. 카이로스는
기존
방식처럼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지만 상점이나 사무실에서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신호를 단순히 ‘확인’만 해 사용한다. 위치정보를 올리고 싶은 사람은 카이로스 홈페이지를 방문해 지도상에 건물이 ... ...
3D프린터로 전기차를? 美 로컬모터스의 남다른 시도
동아일보
l
2014.03.20
한 후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들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디자인 수정을 반복하는
기존
의 과정을 벗어나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함께 일하면서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랠리 파이터(Rally Fighter)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로컬모터스의 첫 번째 ... ...
불규칙한 출력 잡아야 풍력발전 성공한다
과학동아
l
2014.03.19
우리나라가 대형 풍력발전기나 발전단지를 설계하고 짓는 능력은 충분한 만큼 이제는
기존
전력망에 풍력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게끔 출력 제어 기술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북대 전기공학과 강용철 교수는 21일 오후 6시 30분 광주 교육과학연구원에서 ... ...
배터리? 인프라?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3.19
)로, 속은 인산망간리튬(LiMnPO4)로 된 이중구조의 2차전지 양극 소재를 개발한 바 있다.
기존
배터리에 비해 폭발 안전성이 500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급속·무선 충전 인프라 각광받을 듯 아파트 주차장(왼쪽)과 대형마트 주차장(오른쪽)에 설치된 에 마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모습. ... ...
수학적으로 적절한 친구의 수는?
수학동아
l
2014.03.18
개방형 SNS를 벗어나 폐쇄형 SNS로 옮기는 사람들의 수가 부쩍 늘고 있다. 폐쇄형 SNS는
기존
의 SNS와 달리 자신이 정말 원하는 친한 친구들끼리만 정보와 일상을 공유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친구의 수를 특정하게 정해 놓은 서비스도 최근 등장했다. 이용자가 맺은 친구 중에서 교류가 잦은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21~37도) 안에 드는 32도일 때 쓰다듬는 속도에 따른 CT의 발화패턴을 측정했다. 그 결과
기존
결과대로 초당 3cm일 때 가장 반응이 컸고 그보다 느리거나 빠르면 반응이 약해졌다. 다음으로 18도와 42도로 맞춘 인공손으로 각각 속도에 따른 발화패턴을 봤다. 그 결과 3cm일 때 발화가 최대치인 패턴은 ... ...
'겨울왕국'서 1500년 동안 살아남은 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4.03.18
주도한 피터 컨베이 교수는 “다세포 생물이 이렇게 오랫동안 살아있을 수 있다는 것은
기존
의 상식을 뛰어넘는 것”이라며 “남극이란 환경 특유의 빙하기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생겨난 특성”이라고 설명했다. 남극 이끼는 남극이라는 극한 환경에서 생태계에 탄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 ...
이전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