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 원자핵에서 양성자 2개,
중
성자 2개가 줄어든다달톤(Daltons)의 줄임말 어떤 입자(주로 원자나 분자)의 질량(mass)를 표현하는 단위로 널리 쓰인다 탄소($^{12}{C}$) 원자의 1/12을 1달톤으로 정의한다 수소 원자는 1달톤이며 아미노산 1개는 약 1백1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검출됐다. 세종대 김기현 교수는 “지난 12월 11일 만리포에서 채집한 토양에서 공기
중
으로 배출되는 성분을 분석하자 총탄화수소(THC)의 양이 20~60ppm에 이르렀다”며 “이는 대규모 공장지대의 THC 기준인 50ppm과 비교해도 굉장히 높은 수치”라고 같은 달 13일 발표했다. THC는 대기오염을 측정하는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2호는 달 표면에 내리는 착륙선으로 각각 예정돼 있다.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
심으로 달 탐사에 대한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한 기획 연구가 시작됐다. 기획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박사는 “연구 기간은 1년 정도 걸릴 것”이라며 “2008년 하반기에는 달 탐사를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어땠을까. 과학자들은 쥐가 과학발전의 가속페달 역할을 한다고 입을 모은다. 수천 년 전
중
앙아시아에 출현한 시궁쥐(rat) 라투스 노르베기쿠스(Rattus norvegicus)가 그동안 과학에 공헌한 바는 지대하다. 과학발전의 밑거름이 되며 지금 이순간도 과학자들의 요구에 맞춰 맞춤형으로 다시 태어난 쥐들은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단서가 된다.독도라는 이름이 붙은 해양물리현상도 등장했다. 독도 주변의 해류를 연구
중
인 이재학 박사는 해저 울릉분지에서 북쪽으로 최대시속 1km로 흐르는 심층류를 ‘독도심층류’라고 명명했다. 이 해류의 성분을 분석하면 울릉분지 남쪽에 위치한 해양폐기물 투기장에서 어떤 물질이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더욱더
중
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없을 정도로 멀티미디어 파일이 대용량이기 때문이다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면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에라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질소는 물처럼 투명한 액체가 된다. 질소를 그릇에 담으면 하얀 연기가 피어난다. 공기
중
의 수분이 차가운 질소 기체와 만나 응결돼 나타나는 현상이다.엘 불리에서는 식사 테이블 위에서 즉석으로 칵테일 셔벗을 만들어준다. 사탕수수를 증류한 브라질 민속주인 카챠카에 라임과 설탕을 섞은 뒤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날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지만 일단 한국에 왔으니 한국을 맘껏 즐기고 싶다. 내일은 국립
중
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에 가볼까. 인사동에 가서 전통음식도 맛보고 젊음이 넘치는 신촌거리도 구경해야겠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MIT가 발행하는 과학저널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에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중
하나로 선정할 만큼 기대가 큰 분야다. 유럽연합(EU)은 2005년 과학기술분야 유망신규과제(NEST) 프로그램에서 발간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합성생물학을 엄청난 영역과 잠재력을 지닌 분야로 꼽으며 관련분야에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877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채집한 표본은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박물관에 소장
중
이다. 나머지 표본은 1916년 우리나라 금강과 낙동강에서 채집했으나 애석하게도 일본 조류연구소로 넘어갔다.일본의 조류학자인 나가미치 구로다 박사가 조선 땅의 원앙사촌을 먼저 발견해 국제학회에 보고한 ... ...
이전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