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셈이다. 통신 사업자들은 PC통신 서비스와 제휴해 PC 통신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아울러 빠른 속도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데도 맹목적으로 속도만을 고집하는 네티즌들의 태도도 문제다. 자신의 정보요구와 서비스의 질을 잘 살펴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따르면 미국에서 심장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 4만여명 가운데 3분의 1이 기증장기를
이용
하기도 전에 사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동물의 장기를 활용할 수는 없을까.과학자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장기이식용 동물은 돼지다. 무엇보다 돼지 장기의 크기는 사람과 비슷하다.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것이다. 이 생식세포를 통해 태어난 동물은 100% 형질이 전환될 수 있다. 즉 배간 세포를
이용
한 ‘완전한’ 형질전환동물이 만들어지려면 적어도 1세대를 지나야 한다.누드양이 없는 이유현재까지 이 방법이 적용된 사례는 쥐 하나뿐이다. 가축의 경우 배간 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는데 실패해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무용지물이 되는가외부에 디지털TV용 셋톱박스(Set-top box)를 설치한 경우 현재의 TV를 계속
이용
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디지털TV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으로 현재 케이블 방송이나 위성 방송에도 사용된다. 하지만 이 때는 셋톱박스가 디지털 방송을 현행 아날로그TV에 맞도록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스크린세이버를 쓰는 재미도 괜찮다.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가 있다면 공짜 프로그램을
이용
해 얼마든지 훌륭한 스크린 세이버를 만들 수 있다. 우선 사진을 스캔하거나 촬영해 컴퓨터 파일로 만든다. 파일은 jpg 포맷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다음 포토오피 파일(members.aol.com/JmPhotoOp3/PhotoOp.exe)을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적게 먹을 경우 지방뿐 아니라 근육이 분해돼 에너지로
이용
되므로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복부비만인 사람의 바람직한 식사량은 체격에 따라 다르지만, 비슷한 키의 보통 사람이 먹는 양의 60-70% 정도를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우리가 흔히 범하는 잘못된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목긴공룡은 이빨이 잘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석(gastroliths)에 의존한 소화방법을
이용
해 막대한 양의 나뭇잎을 먹어 산림을 황폐화시켰다.그런데 식물들 역시 이러한 공룡들의 무자비한 약탈에 적응하기 시작했다. 생존주기를 짧게 하고 빠르게 성장하면서 낮게 자라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 ...
사람 귀를 등에 단 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아니라 단순히 쥐의 등에 사람의 조직을 접목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조직세포를
이용
해 필요한 장기조직을 만들어내는 일은 조직공학(issue engineering)의 한분야에 속한다.장기제조를 위해 먼저 인체나 동물의 연골과 뼈세포를 분리한 후 체외에서 대량으로 배양한다. 다음으로 이들 세포가 코,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어려웠던 고릴라나 침팬지에게 인간과 비슷한 병에 걸리게 만들고, 그 체세포를
이용
해 복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장기이식 분야도 마찬가지다. 만일 사람에게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돼지가 성공적으로 개발된다면, 그 돼지를 복제함으로써 인체 이식에 필요한 각종 장기를 현재보다 ... ...
만약의 사태 대비하는 다중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확률은 별똥에 맞는 경우와 비슷원자력발전소는 핵이 분열하면서 나오는 엄청난 열을
이용
해 발전하는 곳이다. 그만큼 위험하다는 뜻도 된다. 흔히 원자력발전소에서 사고가 나면 핵폭탄이 폭발하는 것과 같은 일이 벌어지는 줄 안다. 그러나 이는 오해다.핵폭탄의 경우 우라늄 235를 100% 가까이 ... ...
이전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