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소의 안정한 위치를 찾아내고 반응 속도까지 계산할 계획이다.또한 이러한 전산모사
결과
에 근거해서 탄소나노튜브에 수소를 담을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제조와 제어 기술도 함께 개발할 예정이다. 현재 탄소나노튜브는 튜브 끝이 막힌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수소를 저장하기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해소되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늘 지진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할 운명”이라며 “
결과
적으로 일본열도가 한반도의 지진보호막인 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1975-1995년 사이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지진 분포도를 보면 일본열도의 지진 발생수가 압도적임을 볼 수 있다.한편 지진은 판 내부에 있는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30%를 관측했다. 앞으로 2년 동안 자외선 우주탐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
는 미국과 프랑스의 국제공동연구팀과 함께 8월경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특별호에 29편의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상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중 12.4%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
도 나와 있다. 전체 장애인의 88%가 선천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사고로 인한 후천적 원인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지난해 국내 농가에서 사용된 화학비료와 농약은 6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체신호 측정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상당히 진척돼 있다. 미 조지아공대의 연구
결과
를 센사텍스에서 상품화한 ‘똑똑한 셔츠’가 대표적인 예다. 이는 전도성이 있는 섬유와 광섬유를 혼합해 짠 재료로 만든 옷으로 심박수, 체온, 호흡수, 자외선 노출도, 지방지수, 소모 칼로리 등을 측정하는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자연의 섭리대로 죽어가는 모습이 마치 버려진 바벨탑의 운명 같다.천문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별의 외곽 층은 1만4천년 전부터 바깥쪽으로 빠져 나가기 시작했다고 한다. 별에서는 양쪽 방향으로 가스와 먼지가 뿜어져 나왔다. 언어의 혼란으로 바벨탑을 쌓던 사람들이 흩어졌듯이. 가스와 먼지는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않고도 ‘리모트 뷰어’(Remote Viewer) 프로그램을 이용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실험
결과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공동실험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이다. 제주도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대전까지 오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실험이 가능한 이유다.스크린에 대전 본원의 실험 운영자 이철현 박사의 ... ...
초신성 시나리오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전파망원경 네트워크로 천체의 존재를 확인했다. 전파의 주파수를 달리하며 관측한
결과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천체가 발산하는 전파를 얻은 것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마이클 비에텐홀쯔 박사는 “이 천체가 중성자별인지 블랙홀인지는 아직 모른다”면서 “이는 갖 태어난 아기를 힐끗 보고 ... ...
남성은 배란기의 여성 체취에서 섹시함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남성은 여성이 배란기일 때 그녀의 체취를 가장 섹시하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이는 남성이 여성의 배란기가 언제인지를 알 방법 ... “여성의 섹시한 체취는 아마도 이 호르몬에서 유도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행동생태학’ (Behavioral Ec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 ...
맹목적 사랑은 뇌의 변화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친구들이 “눈에 콩깍지가 씌었다”며 놀려대도 사랑에 빠진 사람에게는 연인의 결점마저 예쁘게만 보인다. 왜 그럴까.누군가와 가까워지 ... 사람의 뇌에서만 활성화됐다. 로맨틱한 사랑과 모성애의 차이가 증명된 셈이다.이 연구
결과
는 과학전문저널 ‘뉴로이미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 ...
이전
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