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를 진행한 김용현 연구원은 “공기
중
의 여러 기체에서 나온 플라스마가 물과 반응하면서 수많은 분자가 만들어져 활성수의 특징을 갖는다”며 “정확히 어떤 분자가 이런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플라스마로 만든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천체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대전시민천문대 건립을 제안하며 천문학의 대
중
화에 헌신했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를 창립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이며 대전시민천문대 명예대장을 맡고 있다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했을지 모른다.2007년 6월엔 즈베즈다 모듈에서 생명유지시스템을 담당하는 컴퓨터
중
일부가 고장난 데 이어, ISS 밖에서 우주유영을 하던 러시아 우주인은 한 모듈에 총탄 크기로 뚫린 구멍을 발견했다. 그간 ISS의 대형 태양전지판에서는 구멍이 여러 개 발견된 적은 있으나 모듈에서 우주물체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도구로 뇌 능력을 높일 수 없을까.뇌는 전기장, 자기장, 적외선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이
중
전기장은 부작용이 있고 적외선은 두개골을 투과하는 능력이 낮다. 반면 자기장은 뉴런의 분화를 촉진한다. TMS(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는 자석코일로 뇌조직에 자기장을 일으켜 뉴런을 활성화시키거나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질문하며 자신의 주장을 펼쳤는데, 조 단장은 그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재직
중
인 포스텍에서도 토론형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미국 뉴욕에 살면서도 집과 실험실만 오가던 유학시절은 제게도 엄청난 스트레스였습니다. 딴 생각을 할 틈조차 없었죠. 하지만 제자들은 좀 더 자유로운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룬다결정은 능면체(菱面體) 또는 괴상(塊狀) · 입상(粒狀) 등을 이룬다굳기는 35~40, 비
중
28~29이다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율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유전자 이 유전자는 DNA의 복제과정에서 착오를 일으키는 DNA 폴리머라아제를 만들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J 돌턴에 의해 제시된 원자론 원자론은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사실을 뒤늦게 안 KAIST가 지난해 초 CGK에 특허반환소송을 냈고 아직도 소송이 진행
중
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6개월간 정직처분을 받기도 했다.따라서 CGK 측이 자신의 존재 이유가 되는 MAGIC 기술을 부정하는 내용을 소송상대자인 KAIST에 제보한 배경에 대해 의문이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환자를 위한 인공망막을 개발
중
이다. 망막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시각 작용의
중
추다. 현재 빛의 굴절을 조절하는 각막과 수정체를 대체할 인공물은 만들어졌지만 망막의 기능을 대체하는 기술은 미성숙한 단계다. 인공망막은 침과 전극으로 이뤄진다.현재 인공망막 기술은 앞을 전혀 못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비용이 들 것은 확실하다.사실 유럽에서도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환자가 4만 명이 넘고 그
중
매일 10명이 장기가 없어서 목숨을 잃는다. 이를 현대과학의 걸작품인 인공장기로 대체하려면 과학기술의 힘으로 가격을 낮춰야 한다. 안드로메다행 기차 값이 너무 비싸 좌절하던 철이에게 메텔이 공짜표를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R. 포드 데니슨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태업을 유도했다. 즉 대기
중
의 질소함량을 낮춰 질산염의 생산성을 떨어뜨렸다. 수일이 지나자 박테리아가 절반으로 줄었다. 알고 보니 식물이 영양분과 산소공급을 끊었던 것. 연구자들은 식물이 뿌리혹 마다 개별적으로 산소공급을 ... ...
이전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1133
1134
1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