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일"(으)로 총 1,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동아사이언스 l2018.09.20
- 이번이 세 번째다. 아시아인 중에는 일본인인 가네히사 미노루 일본 교토대 교수가 유일하게 이번 클래리베이트 선정 노벨상 유력 후보에 꼽혔다. 가네히사 교수는 유전정보 DB인 ‘교토 유전자 및 게놈 백과사전(KEGG)’을 개발해 생물정보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유전자 발현에 ... ...
- 여름철 풍족한 물 지하수로 만들어 보관… 싱크홀-가뭄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7
- ” 지난주 대전 대덕컨벤션센터(DCC)엔 세계 지하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세계 유일의 지하수 연구학회인 국제수리지질학회 행사가 한국에서 열린 것이다. 전 세계 지질 연구자들의 관심이 최근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에 쏠리고 있다. 10일 행사장에서 만난 포르투갈 국적의 안토니우 샴벨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전자두뇌가 기계 몸을 입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4
- 낸다. 뇌는 살아있으니 인간이라는 논리다. 하지만 그가 또 다시 사고를 당하고, 마침내 유일한 생체기관인 두뇌마저 전자두뇌로 교체하게 된다. 기자들은 그가 크게 낙담할 것으로 생각하며 소감을 묻자 “저는 오늘부터 완전한 로봇. 기분이 상쾌합니다.”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며 의연한 모습을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기는 안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8.09.13
- 당뇨 등 질병에 시달리게 된다. 예방할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 윤리적 논란이 뜨겁지만 유일한 희망은, 엄마의 미토콘드리아를 건강한 다른 여성의 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이다. 일명 ‘세 부모 아이’가 되는 것이다. 과정은 이렇다. 미토콘드리아 유전병 위험이 높은 엄마 A의 난자에서 핵을 ... ...
- “기후변화, 지진, 자원은 국민생활과 밀접...이 시대 문제 해결에 주력하겠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2
- 흔히 기초과학의 대표적인 분야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 분야 연구를 모두 담당하는 유일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김복철 신임 원장의 생각은 달랐다. “기후변화, 지진, 자원 등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입니다. 정부가 출연연에게 해결을 기대하는 분야기도 ... ...
-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2018.09.11
- 유일한 포유동물 박쥐가 질병에 걸리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장거리를 날 수 있는 유일한 포유동물이기 때문입니다. 박쥐는 정기적으로 매우 먼 거리를 날며 밤에는 최대 350km를 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비행 중인 과일박쥐. - GIB 제공 미국 지질조사국(USGS) 포트 콜린스 과학센터의 ...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2018.09.11
- 때문이다. 오늘날 사람은 음성에 기반한 복잡한 의사소통체계, 즉 언어를 구사하는 유일한 동물이지만 이게 ‘언어 유전자’로 불린 FOXP2 때문은 아니라는 내용에 학술지 ‘네이처’조차 “언어 진화에 대한 이해를 뒤집었다”며 FOXP2를 외면하는 분위기다. 아미노산 715개로 이뤄진 FOXP2 ... ...
- [메르스 비상] 27개국 퍼진 메르스…50~70대 남성 취약동아사이언스 l2018.09.09
- 중동 10개국과 아프리카 3개국, 아시아 6개국, 유럽 7개국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일한 발병국인 미국을 포함한 27개 국가로 총 2229명(하단 표참조)이 확진판정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까지 메르스 확진 환자 중 791명이 숨져 사망률은 35.5%에 이른다. 메르스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잘 ... ...
- [세계수학자대회 On Air] 김기자의 숏터뷰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09.07
- 대답을 들을 수 없었다. 그래도 사진은 잘 찍어줬다는 사실! 숄체 교수는 강연자 중 유일하게 발표 자료를 손으로 직접 써왔다. - 2018 ICM 제공 *출처 : 수학동아 9월호 '201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를 가다 ... ...
- ‘플라스마 파도’ 만들어 입자 가속...소형 가속기 실험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9.07
- 1km보다 작은 크기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에 비유럽권 연구자로는 유일하게 김성열 UNIST 물리학과 연구원과 정모세 교수가 참여했다. 정 교수는 “LHC 이후의 가속기로 일본에서 거대한 전자 선형가속기를 건설하고자 논의 중인데, 어웨이크를 이용하면 현재의 LHC에 1km짜리 시설만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