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와집
개와집
곡
뉴스
"
와
"(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평행선 달리는 한방난임치료 논란…환자들만 혼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건강한 아기 출산율이 높아졌음을 명확히 입증한 후에야 현대의학과 한방 간 공동연구
와
협진 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의학처럼 뚜렷한 과학적인 근거를 찾아야 함도 강조했다. 류 교수는 “난소기능을 확인하는 항뮬러관호르몬(AMH) 검사 수치가 한방 난임 치료로 ... ...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하는 장내미생물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410명의 분변 시료를 채취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했다. 그리고 그들의 임상 데이터
와
알코올 섭취량 등을 비교했더니, 건강한 사람에 비해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장내에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라는 미생물이 적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알코올성 지방간에 걸린 쥐에게 이 ... ...
[과학게시판] 전기연구원, 꽃동네대학 친황경 ‘에코캠퍼스’ 구축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국민들의 ‘끝없는 도전’을 전시하는 특별전이다. 한국이 직면했던 도전과제
와
이를 극복하면서 이룩한 변화된 생활상을 7가지 주제로 시대별로 풀어낸 게 특징이다.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24일 오전 7시부터 대전 대덕테크비즈센터 KIRD대전교육센터에서 ‘제13회 굿모닝사이언스 ... ...
'아이언맨' 로다주가 만든 AI 다큐시리즈 유튜브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이를 AI에게 학습시켜 아바타를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 에피소드는 AI
와
건강관리에 대한 이야기가 담겼다. 이 영상에서는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AI '웨이브넷'이 사고로 언어에 장애가 생긴 팀 쇼 전 NFL(미국프로풋볼리그) 선수의 음성을 재생성해 말을 하도록 돕는다. AI가 사고 전 ... ...
이물질 검출 홈센서-유연배터리 등…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서 두각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기술로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이다. 에스오에스랩은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라이다
와
고정형 라이다 기술 등을 이번 행사에 선보인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술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고 이를 적극 돕고 있다”며 “대학의 기술이 실질적인 사업화로 ... ...
플라스틱 쌓인 지금은 ‘인류世’ 시대… 생태 위기 해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마이클 피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대형 재난인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와
2004년 아시아 지진해일이라는 재난 상황에서 인류가 어떻게 피해 극복에 나서는지를 예술인류학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피셔 교수는 후쿠시마 사태 이후 창작된 일본 미술가 무라카미 다카시의 작품 ... ...
"과학커뮤니케이션, 단순지식·재미보다 경이로움과 신기함 전달에 무게 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한다고 경고했다. 김 작가는 “영화 ‘인터스텔라’가 한창 유행할 때 물리학자를 데려
와
꼼꼼하게 고증을 거쳤다 등의 얘기가 많았지만 실제로는 영화에 비과학적 이야기도 많고 정작 중요한 이야기에서 신비주의로 빠지는 부분들이 있다”며 “이런 부분을 중요하게 이야기해야 한다고 ... ...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12.05
적응하기 위해 깃털을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곤드
와
나 리서치’ 11월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16/j.gr.2019.10.004 ... ...
한강 '리튬'에 무방비 노출…폐배터리·치료약 성분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하지만 리튬 배터리를 폐기하는 규정은 별도로 마련돼있지 않다. 주무 부처인 환경부
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세계적으로도 리튬배터리 폐기물을 처리하는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논의를 미뤄 왔다. 올해 6월부터 관련 규정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나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 ...
뇌세포처럼 반응하는 '인공 뇌세포'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인공 뇌세포에 발생하는 전력은 140nW(나노
와
트·10억분의 1
와
트)로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의 10억 분의 1 수준이기 때문에 인체에도 무해하다"고 설명했다. 지아코모 인디베리 취리히연방공과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세포 반응을 제어하는 정확한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