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d라이브러리
"
효과적임
"(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지난해 11월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인공DNA를 결합해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자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벤터 박사가 만든 바이러스 유전자는 박테리아에 감염되는 박테리오파지의 것으로 5천3백86개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이 모든 것이 이미 밝혀진 서열에 따라 염기들을 하나하나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나노입자가 뇌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로체스터대 군터 오베도스터 박사팀은 지름이 35nm(나노미터, 1nm = 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입자를 쥐에게 흡입시킨 후 그 입자의 흐름을 추적했다. 흡입한 후 하루가 지나자 후각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후구 ... ...
파도 이기는 프랙탈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해안의 바위가 거친 파도에 수백년을 버티는 비결이 밝혀졌다. 해안의 프랙탈(fractal) 구조가 파도의 힘을 효과적으로 잠재워 이로 인한 침식을 최소화한다는 것.프랙탈이란 단순한 구조가 계속 반복되면서 복잡한 전체 구조를 이루고 있는 형태다. 대표적인 예가 겨울철 잎이 다 떨어진 나뭇가지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겨울이 깊어가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예전에 비하면 따뜻한 겨울이라지만 매서운 한파가 몰아칠 때면 집밖을 나서는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고혈압 환자처럼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영하의 날씨는 자칫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겨울철 건강관리법에 단골로 도마에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지구의 기온은 과거 1백년 간 0.6℃ 정도 증가했다. 이런 식으로 증가한다면 2100년에는 1990년도에 비해 1.4-5.8℃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1만년 동안의 기후 변화보다도 더 큰 것이다. 기온상승으로 인해 지구 곳곳에서는 여름철의 극심한 무더위, 홍수나 가뭄 등 강수량의 변 ... ...
자생식물에서 B형 간염 치료성분 추출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7-8%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영익 박사팀이 B형 간염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추출해 주목받았다.이 박사팀은 간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진주초라는 자생식물을 갈아 먹였다는 민간요법에서 힌트를 얻었다. 연구팀은 ... ...
부족한 백신, 누구에게 접종?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염병이 갑자기 발생했는데 백신이 충분하지 않다. 이럴 경우 누구에게 백신을 접종시켜야 할까? 물리학자가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네트워크 이론으로 사람들의 구체적인 정보 없이 슈퍼전파자를 찾아내 백신을 접종한다는 것.질병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많은 사람과 접촉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004년에 화성은 결코 외롭지 않을 전망이다. 3대의 궤도탐사선, 3대의 착륙선이 화성의 표면을 조사하기 때문.유럽우주기구(ESA)의 마스 익스프레스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글로벌 서베이어와 오딧세이의 활동에 합류하며, 착륙선 비글2호는 NASA의 스피릿과 오퍼튜니티의 뒤를 이을 전망이다.기온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성의 호감을 얻기 위한 구애동작으로 어떤 곤충은 날개로 현란한 춤을 춘다. 그 날갯짓은 대략 1분마다 반복된다. 바닷가 갯벌에 서식하는 조개류는 입수공의 여닫이 간격이 약 12시간이다. 이 때문에 밀물이나 썰물의 시기에 맞춰 바닷물 속 먹이사냥을 쉽게 한다. 초파리와 같은 곤충은 하루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미꾸라지 용됐다.”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다.” “미꾸라지 한마리가 물을 흐려놓는다.”우리나라 논과 개울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었던 정겨운 우리 물고기 미꾸라지. 그런데 왜 우리 조상들은 이처럼 미꾸라지를 천대하고 눈살을 찌푸리며 바라봤을까. 추어탕집 수족관에서 솥에 팔팔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