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문화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남아있는 돈의문 외관 사진과 실물 현판의 크기를 비교해 기둥과 건축물의 높이, 석재 크기 등 각종 치수를 추정해 두었어요. 프로젝트팀은 이때 그려진 3D 설계도를 활용하고 더욱 철저한 디지털 복원을 위해 인공지능으로 돈의문의 과거 사진을 분석했어요. 인공지능은 과거 사진이 어떤 각도에서 ... ...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성장 인자를 넣으며 배양했어. 일주일 정도 줄기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우자, 약 0.5mm 크기의 세포 덩어리로 자라났어. 그 뒤 여기에 상피세포로 분화하도록 만드는 물질을 넣어 뱀독을 분비하는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 오가노이드에서 분비된 독은 실제 뱀독과 비슷했어. 실험용 쥐의 근육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분야 금상Lost In Space우리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이 모여 만들어진 거대한 나선은하다. 그 크기는 14만 광년에 이른다. 길을 잃은 자리에서 문득 올려다본 밤하늘의 은하수는 어떤 모습일까. 작가는 2018년 8월 18일 은하수가 서쪽으로 저무는 오전 3시 10분경 서호주 로트네스트 섬에서 은하수를 배경으로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인 해마곁이랑과 미상핵, 뒤쪽뇌섬엽, 마루엽속고랑 등 9개 영역의 크기와 모양이 일반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016/j.nlm.2012.05.002 기억은 뇌의 해마와 편도체, 대뇌피질에 있는 뉴런에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며 형성되는데, 특히 자전적 기억은 해마와 해마곁이랑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정식 명칭은 ‘J043947.08+163415.7’이다. 밝기는 태양의 600조 배다. ●Law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결정하는 것 중 하나는 허블상수다. 천문학자들에게 가장 정확하게 측정된 허블상수 값은 늘 관심의 대상이다. 허블상수는 우주의 팽창속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그 역수는 우주의 나이에 비례한다. 그래서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는 게 당연하다”며 “퀀텀닷은 크기를 달리하면 물질의 특성이 바뀌는 장점 덕분에 친환경으로 전환해도 기존의 효율을 다시 따라잡는 것이 다른 산업보다 유리하다”고 말했다 ...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쓰는 것이었다. 발사계획서는 말 그대로 발사계획을 설명하는 문서다. 발사체의 크기, 무게, 단수(段數), 추진제와 같은 제원은 물론이고, 발사체에 탑재되는 위성의 특성, 위성이 투입되는 궤도, 발사예정일 등을 꼼꼼하게 적는다. 발사계획서 작성은 경험이 없는 우리에게 결코 만만한 작업이 ... ...
- [퍼즐라이프] 채우는 재미가 쏠쏠! 카지노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배열된 1×2×2 크기의 블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무 칩을 쌓고 남은 빈 공간은 크기가 1×1×1인 단위 블록으로 채운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카지노 퍼즐은 1×2×2 블록 6개와 단위 블록 3개로 3×3×3 공간을 완전히 채우는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카지노 퍼즐을 풀기 위해 수학에서 많이 쓰는 기술 중 ... ...
- 코로나19,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코로나(corona)’라는 이름이 붙었다. 7종은 번식력과 생존력 등이 서로 달라, 증상의 크기와 질병의 전파력도 다르다. 코로나19의 치사율은 사스보다 낮고, 전파력은 사스보다 높거나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코로나19의 주된 증상이 폐렴인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그중 하나는 S단백질의 구조에 ... ...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보이는 천체를 직접 고르는 거예요.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많이 쓰지만, 크기가 작고 흐릿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엔 인공지능으로 부족하거든요. 우주를 좋아하는 어과동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환영해요! 참여 방법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star.dongascience.com)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