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d라이브러리
"
책임
"(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없다. 초전도 케이블은 발전소와 변전소 같은 전력 시설에 먼저 쓰일 예정이다.조
책임
연구원은 “미래에 수소 연료가 현재의 액화천연가스(LNG)처럼 각 가정에 공급된다면 액체수소를 냉매로 이용해 초전도 케이블을 가정까지 연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실 없이 전기를 저장했다가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을 직업으로 삼지 말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좋아하는 일도 직업이 되면
책임
감을 느껴 즐거워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류상범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장은 직업에서 취미를 찾았다. 그는 하루 종일 기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도 모자라 주말에는 기상을 테마로 한 우표를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하고 있다. ‘개인용 비행기 개발 선행연구’
책임
자인 이대성 항우연 본부장은 당시 “삶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사회간접자본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며 “20년간의 중장기 기술 로드맵을 만들어 장기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AV가 ... ...
지질자원연, 국제 CO2 저장 프로젝트 참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유전이나 가스전, 대수층 등에 영구적으로 격리하는 기술이다. 허대기 지질자원연
책임
연구원은 “오트웨이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과학자들도 지중저장기술과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성능을 자랑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최근 정부는 KoRIA의 형태를 결정해 공개했다. 총괄
책임
자인 홍승우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0년 9월 열린 중이온가속기 국제기술자문위원회에서 “지름 10m의 원형가속기와 길이 200m의 선형가속기가 결합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홍 교수는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할 것”이라고 말했다.2009개정 과학교육과정개발사업단(융합형 과학 기획 및 개발)
책임
자 김희준 서울대 화학과 교수물리 오원근 충북대 물리교육학과 부교수(위원장) 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학과 교수, 김재우 서울 서운중 교사, 박병윤 충남대 물리학과 교수, 박종원 전남대 물리교육학 교수,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온 것 같다”며 “미래 기술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
연구원은 독일 칼스루에 공대에서 전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래 자동차 충돌방지용 레이더를 공부했지만 한국전기연구원에 온 뒤 무선전력전송을 연구하고 있다. 아직 개척 중인 분야라 힘든 부분이 ... ...
나로호 3차 발사 2012년으로 연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2012년으로 미뤄지게 됐다.한편 이주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나로호 발사 실패의
책임
을 지고 2월 17일 기초기술연구회에 사표를 제출했다. 이 원장은 2009년과 2010년 나로호 1, 2차 발사를 이끌었으나 두 차례 모두 성공하지 못해 정부로부터 해임 압박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항우연 관계자는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요구하고 자기에게 항상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들의 일에 지나친
책임
감을 느껴 문제가 생기면 자신이 다 해결해줘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나는 확실히 이 타입에 속하는 모양이다. 이런 성격이 결코 좋다고 할 수 없는데도 쉽게 고치지 못하는 이유는 역시 타고난 기질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그동안 신경과학자들은 뉴런에만 초점을 맞춰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려고 했다. 이
책임
연구원은 “신경교세포도 신경전달물질을 낸다는 것이 밝혀졌으니 앞으로 신경계 질환치료제의 새로운 타깃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멈출 줄 모르는 미세교세포의 수다별교세포가 말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