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d라이브러리
"
제시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자신의 생각을 수식을 이용해 독후감으로 쓰거나, 논리적인 대안을 수식을 이용해
제시
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일련의 과정을 능숙하게 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까지 모두 수학독서에 포함된다.자발적인 책 읽기의 효과 수학독서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풀이식 교육 이상으로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2010년 개발했다. 하이퍼1에 비해 힘은 조금 약하지만 야외에서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한 셈이다. 하이퍼 개발 관계자는 “동작시간이 다소 짧지만 그건 큰 배터리를 연결하면 해결된다”며 “배터리 자체의 무게와 등에 짊어질 수 있는 짐의 부피를 고려해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할 것이다. 학생들은 상록수를 상록수가 아닌 일반 낙엽수와 비교함으로써 비교군을
제시
했다. 제안한 가설을 베네딕트 반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어떤 실험을 수행하려고 한다면 결과를 되도록 정량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는 yes/no로 결정되는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케네스 애로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 필요한 다섯 가지 조건을
제시
한 뒤, 이들이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모든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는 ‘애로의 불가능 정리’ 로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대한 오디션 나도 수학이다PART 1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성질을 이용하는 식으로 조합과 정수를 이용하는 문제에 대수가 약간 활용된 문제(11쪽에
제시
한 조합 문제)가 나왔다.이렇게 분야가 혼합되는 특성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문제의 출제 경향과 같은데, KMO가 이를 따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는 다른 분야와 결합한 대수 문제가 단순한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대신 이론물리학자들은 몇 개의 가상 입자를 암흑물질의 후보로
제시
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약한 상호작용을 하는 무거운 입자’라는 뜻의 윔프(WIMP)다. 윔프는 위에서 설명한 ‘차가운’ 성질을 만족하는 가상의 물질이면서 입자물리학 가설인 ‘초대칭이론’에도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또는 발가락 사이를 벌리고 발가락을 하나씩 돌리며 뽑듯이 살짝 잡아당기는 방법을
제시
했다. 발마사지는 한 부위를 5분 이상 하는 것보다 1분씩 3~4회 반복하는 것이 좋다. 얼린 캔이나 빈 병을 바닥에 놓고 발바닥으로 굴리거나 볼펜을 발가락으로 잡았다가 놓는 것을 반복하는 것도 좋다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되는 현상(‘강자성’ 현상)을 설명하면서 ‘자발적 대칭성 깨짐’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
했다. 이후 낮은 온도에서 유체의 점성이 사라지는 ‘초유동 현상’, 그리고 금속의 전기 저항이 낮은 온도에서 0이 되는 ‘초전도 현상’이 모두 이 자발성 대칭성 깨짐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에너지도 나온다는 것. 디랙은 음의 에너지를 해석하기 위해 고심했고 이런 저런 설명을
제시
했지만 그를 라이벌로 생각했던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 같은 사람들의 강한 반발만을 불러일으켰다.1931년 디랙은 음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빈 자리(구멍)에 양전하(+)인 반전자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나만의 사색도 없어서는 안 돼요.”그는 실험실에 있는 대학원생들에게도 섣불리 답을
제시
하지 않으려 애쓴다고 말했다. “교수가 참아야 돼요. 아무리 답답해도. 그리고 창의성은 답을 찾는 게 반, 문제를 찾는 게 반이예요. 무엇을 할지 모르는 게 창의성의 시작입니다.”그래서 후배들을 보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