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d라이브러리
"
제시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물방울일까? 공기방울일까?한 어린이가 빨대 끝을 비눗물에 담근 뒤 뺀다. 그리고 빨대의 반대쪽 끝을 입으로 불자 작고 귀여운 비눗방울이 하나둘씩 방울방울 생긴다. ... 수학이 방울방울~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PART 3 비누막이
제시
하는 최적화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우리의 교육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장점이 있는 시입니다. 그러나 어떤 대안을
제시
하지 못하고 비판 자체에 머물고 있어 아쉬움이 남습니다.우주는 각의 세계정다니엘(용인 성지중 1년)우리가 살고 있는우주는 각의 세계우주의 지구도지구의 건물도동물도 식물도지금 읽고 있는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자신의 생각을 수식을 이용해 독후감으로 쓰거나, 논리적인 대안을 수식을 이용해
제시
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일련의 과정을 능숙하게 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까지 모두 수학독서에 포함된다.자발적인 책 읽기의 효과 수학독서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풀이식 교육 이상으로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대신 이론물리학자들은 몇 개의 가상 입자를 암흑물질의 후보로
제시
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약한 상호작용을 하는 무거운 입자’라는 뜻의 윔프(WIMP)다. 윔프는 위에서 설명한 ‘차가운’ 성질을 만족하는 가상의 물질이면서 입자물리학 가설인 ‘초대칭이론’에도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셉테드 설계의 지침이 된 ‘방어공간이론’을
제시
했다. 뉴먼 교수는 범죄 예방을 위해 4가지 필수 요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주거하는 사람이 친숙하게 느끼는 영역성 확보, 주민들의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감시, 자연적 접근 통제, 안전한 이미지 조성 이다.영역성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되는 현상(‘강자성’ 현상)을 설명하면서 ‘자발적 대칭성 깨짐’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
했다. 이후 낮은 온도에서 유체의 점성이 사라지는 ‘초유동 현상’, 그리고 금속의 전기 저항이 낮은 온도에서 0이 되는 ‘초전도 현상’이 모두 이 자발성 대칭성 깨짐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또는 발가락 사이를 벌리고 발가락을 하나씩 돌리며 뽑듯이 살짝 잡아당기는 방법을
제시
했다. 발마사지는 한 부위를 5분 이상 하는 것보다 1분씩 3~4회 반복하는 것이 좋다. 얼린 캔이나 빈 병을 바닥에 놓고 발바닥으로 굴리거나 볼펜을 발가락으로 잡았다가 놓는 것을 반복하는 것도 좋다 ... ...
통합과학-지진, 지진파의 통합적 접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최근 일본대지진을 비롯해 지구촌의 잇따른 지진 발생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올해 논구술에서도 지진과 관련한 주제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에서는 지진과 지진파에 대한 논제들을 다각도로 분석해보자. Q1 다음
제시
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해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않는 범위 내에서는 대칭성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요령 있는 배치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제시
한다. 도형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계산이 엄청나게 복잡해지거나 간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석기하학의 반대과정으로서 식의 문제를 기하 문제로 바꿔(대수 문제를 기하 문제로 변형) 기하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주자가례(朱子家禮)’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조선 전기의 회곽묘는 주자가례에서
제시
한 방법과는 형태가 다르다. 주자가례의 방식을 응용한 새로운 무덤 만드는 방법을 왕실에서 지정해 권장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회격묘(灰隔墓)’라고 해서 주자가례에 실린 회곽묘와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