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시간 이내에 이식된 장기가 파괴된다. 박 교수는 “아마 다음 단계는 혈관을 만드는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배아에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하는 실험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실험이 성공한다면 돼지가 인간의 혈관을 가지게 되니 면역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종 간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험하다최근에는 그간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줄기세포 실험에서도 문제가 불거졌다. 유전병 가능성이 높은 난자에 날카로운 바늘을 찔러 핵을 빼낼 때, 소량이지만 문제가 있는 모계 미토콘드리아도 딸려 온다. 이 비율은 2% 내외로 아주 적고, 세포 분열을 거듭하면서 문제가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876-1882, 1999).나머지 10%는 유전적 원인으로, 이 역시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다. ‘SCNA’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복합체 I과 전자전달계를 구성하는 ‘시토크롬 c(cyt c)’의 기능이 떨어진다.ATP를 빼앗긴 미토콘드리아, 암을 만나다암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빨리 자라는 세포다. 당연히 에너지 ...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쥐 세포에서 자가포식이 발생하는 과정에 어떤 후성유전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를 담당하는 ‘CARM1’ 단백질이 자가포식 작용 동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CARM1 단백질이 없으면 자가포식에 문제가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김지영 교수는 “결국 음식이 후성유전학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유전자검사를 토대로 자신에게 취약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단을 처방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명윤리법이 시행돼 콜레스테롤, 혈당, 탈모, 피부탄력 등 일부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전자 검사가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한 달만 늦었더라면’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 ...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다음 화에서 해밀턴의 법칙과 유전적 근연도를 좀 더 탐구해 보자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는 크게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둘 모두 유전 물질인 DNA(혹은 RNA)를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균은 독자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생명체고,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물질대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바이러스의 숙주는 균일 수도 있고,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특정 유전자가 암과 관련성이 있는데도 없다고 오류(제2종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지요. 유전학자는 대개 막대한 비용을 투자받아서 연구하는데 연구 성과가 없으니 매우 난감했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FDR’이라고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역시 기준이 엄격하지 않아 잘못된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룬 게 지난 해 7월, 다시 긴급 기획으로 다룬 게 올해 4월이었다. 곧이어 5월호에서는 유전 부호를 설계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을 특집으로 소개했다. 굳이 분류하자면 각각 기계의 인간-되기, 생명의 기계-되기라고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