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성"(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구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기지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2050년까지 우주 엘리베이터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이지요.하지만 우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려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어요. 바로 케이블에 운석이나 소행성이 부딪히는 사고를 막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지요.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송준섭 기자는 이번 달에 알파고를 취재하면서 몹시 바빴다. 그만의 개성과 감각으로 완성한 특별기획은 다른 기사에서 보지 못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줄 것이다. 과학동아팀의 또다른 숨은 일꾼, 마감의 요정 최지원 기자는(꼼꼼하게 챙겨주는 최 기자가 없으면 마감이 늦어질지도 모른다!) 이번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안으로 상용게임이 아닌 소스가 공개된 오픈게임을 연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게임의 완성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스타크래프트를 비롯한 RTS게임을 연구했던 연구자들도 오랫동안 이런 문제를 겪어왔다.돌파구가 열린 것은 2010년이다. 해커들이 스타크래프트 I의 인공지능을 손쉽게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시간이 지나면 크리스탈 파우더가 에센스와 물을 흡수하여 구슬처럼 커지면서 방향제가 완성됩니다.모든 체험을 마친 뒤에는 아쿠아리움을 둘러보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25m의 거대한 수조 ‘디오션’에는 상어와 가오리, 자이언트 그루퍼 등 100여종 1만 마리의 생물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리를 완성하지 못하고 결국 사망한 수학자의 뇌를 나에게 연결시킨 후에, 내가 완성해 발표한 일은 결정적인 전환점이었다.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연결된 뇌 덩어리인 내가 한 사건이었다. 내가 더 많은 역할을 해 주기를 바라는 기대도 컸다. 어차피 나에게 투자된 돈은 이미 너무 많았다.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화석이 중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완성하는 새의 족보유전적,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생물의 친척관계를 나타낸 그림을 ‘계통수’라고 합니다. 일종의 족보인 셈이지요. 그렇다면 새와 공룡 사이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새의 조상은 공룡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애완동물 통역사 ‘ 도그 마리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 그만 지도가 찢어지고 말았네? 우헤헤헤~! 과연 제대로 된 미로지도의 조각을 찾아 완성할 수 있을까?’겨우 연구실 문앞까지 온 썰렁홈즈는 너무 기진맥진한 나머지 목이 말라 물을 먹고싶었다. 이런 맘을 어떻게 알았는지 연구실 문앞에는 웬 고양이 한 마리가 물병을들고 있는 게 아닌가. 그때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친구들은 누구보다 멀리 나는 비행기를 꿈꾸며 종이비행기를 완성했어요. 그리고 완성된 종이비행기를 들고 국립부산과학관의 넓은 강의실로 이동해 두 명씩 짝을 지어 비행기를 날렸지요. 세게 던졌지만 바닥에 그대로 고꾸라친 비행기도 있었고, 밀듯이 세게 던지자 멀리까지 활공한 비행기도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검출된 신호 3개를 발견한 웨버는 확신에 찬 어조로 중력파를 발견했다는 논문을 완성했다.논문 출간 2주 전, 웨버는 미국 중서부 상대론학회에서 중력파 검출결과를 발표했다. 칼텍의 킵 손 교수를 비롯한 청중은 충격에 휩싸였고, 엄청난 갈채를 선사했다. 웨버는 일약 스타가 됐다. 언론매체는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후 핵연료를 재사용하며, 핵 비확산 등 세 단계의 ‘핵주기’ 완성을 자신의 최종 목표로 삼았다. 원자력에너지 분야는 국가 간에 핵심기술을 공유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나라의 도움 없이 우리나라가 직접 개발해야 한다. 안 교수가 국내로 다시 돌아오겠다고 생각한 것도 이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