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통
회전
반복
싸이클
자전거
주파수
사이클
d라이브러리
"
순환
"(으)로 총 1,317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모든 참치들처럼 블루핀도 항온(warm-blooded)어류로서 체온이 약 30℃에 이른다. 이들의
순환
기구조는 열을 방출하고 다시 흡수하는 것을 몸상태에 맞게 조절하도록 돼 있으며 속도를 최대한 낼 수 있는 지느러미 구조를 가지고 있다.이들의 산란지역은 멕시코만으로, 산란을 위해 서대서양의 ... ...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한글화가 완성될 시기가 되면 이미 외국에서는 더욱 막강해진 상위 버전이 발표되는 악
순환
이 반복되고 있다. 한글화의 시기가 늦어진다는 점은 어떤 이유든지 좋은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세번째로 외국산 소프트웨어에 비해 한글출력이 가능하다는 장점만 빼고는 오히려 외국에 직접 주문하여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적분기술도 필수적이다. 현재 이 분야를 연구하는 많은 기상학자들이 그러한 결합대
순환
모형을 제작, 이 현상을 예보하는 수준까지 끌어 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985년에 시작해 1995년까지 진행될 TOGA(적도해양-지구대기)란 대규모 연구 계획이 끝날 무렵이면 해양과 대기간의 상호 작용과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하면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다.최근에 당뇨병 환자도 많이 늘었고 고혈압 동 혈액
순환
계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많아졌다.전에 못먹어 배고프게 살 때에는 별 문제가 없던 병들이다. 특히 당뇨병은 문제가 심각한 것 같다. 쉽게 말하면 당뇨병은 소변에 안나와야 할 당(녹말기)이 나오는 것이고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생기는 펀치 병이란 병이 있다. 비슷하거나 똑 같은 부위만 계속 사용하게 되므로 피의
순환
이 제대로 되지 않아 근육이 수축되거나 경직되어 어깨와 팔에 통증이 오고, 심하면 감각마비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는 손이 떨리거나 염증이 생기고 붓기도 한다. 이것이 심하면 물잔 하나도 들지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식지도 않고 물이 과다하게 새 나가지도 않은채 유지될 수 있는지를 밝히는 일년간의
순환
시험을 위한 마지막 준비가 한창이다.지하에너지는 뜨거운 암석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지하 5~7km에 놓인 녹은 바위, 즉 용암으로부터 생긴다. 그토록 깊은 지하밑의 용암에까지 파들어 갈수 있는 튼튼한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높이의 도시'란 글에서 "그것(고층)은 예술의 문제라기 보다 정의와 위생 그리고
순환
교통의 문제다. 우리가 하늘높이 올라가지 않고 옆으로 분산해야 하는 이유는 주변의 조그만 대지소유자들의 소유권리를 보호하고 햇빛과 공기를 독점하지 않으며 고층건물의 신축으로 인해 주변지역 땅값이 ... ...
소아당뇨병 치료에 획기적 방법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치료에 새로운 방법이 제안했다. 일본 국립
순환
기병센터의 실험치료개발부장인 이와타 히로오박사는 하이브리드(hybrid)인공췌장을 만들어 치료하면 당뇨병을 격퇴시킬 수 있다고 발표했다.당뇨병은 당을 분해하는 인슐린양의 부족으로 포도당(혈당)이 정상인보다 높아져 소변에 포도당을 배출하는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는 환경을 스스로 만든 것이다.식물의 증가, 산소의 증가, 오존층의 생성으로 이어지는
순환
의 반복으로 오늘날 지구의 산소와 오존층이 생성됐다. 한편 대기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물에 용해되거나 유공 충류 등과 같은 해양동물의 체내에 흡수돼 일부는 동물의 껍데기를 이루고 일부는 지각에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끝까지 남고 조직의 수분이 먼저 빠진다.혈액은 마치 자동차의 냉각수와 같이 전신을
순환
하며 열을 식히는 역할도 하는데 낙타는 그런 점에서 유리하다. 실제로 낙타는 한번에 체중의 1/4~1/3이나 되는 물을 마신다. 이렇게 마시고 몇시간이 지나면 물은 전신의 조직에 흡수돼 물자루처럼 된다. 이런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