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기능만을 중요시하는 지금까지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기초한 것이다.사실 엄청난
수의
정크 DNA의 존재는 진화의 메커니즘과 완전히 상반되는 결과다. 즉 인간이 필요하지도 않는 DNA를 수십억년 동안 소중히 보관해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런 논리로 본다면, 인간보다 정크 DNA가 없는 ...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있는 나무를 베어 해마다의 나이테 너비가 변화하는 모양을 그래프로 만든다. 물론 많은
수의
나이테가 들어 있는 고목일수록 좋다. 이때 ‘크로스 데이팅’(cross-dating)이라는 기법을 사용해 가능한 여러 나무를 서로 비교하고 가짜 나이테나 아예 나이테를 만들지 않은 해를 찾아내 그래프의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컨베이어벨트가 중간 정도의 깊이밖에 가라앉지 않을지도 모른다. 즉 깊은 깊이로의 심층
수의
형성이 중단되고 얕은 깊이의 중층수 형성으로 대체되면서 컨베이어벨트 모양이 바뀐다는 것이다.그런데 바로 우리 동해에서 지난 수십년 동안 이와 꼭 닮은 사건이 이미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동해는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고등학생이 지구 근접 혜성을 발견한다. 말도 안 되는 설정 같지만 사실 많은
수의
혜성이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 의해 발견된다. NASA와 같은 곳이라면 망원경과 연결돼 있는 컴퓨터를 이용해 혜성을 찾아내겠지만, 그런 고급장비가 없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혜성을 찾아내는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한다. 그러나 각각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크기 때문에 2차원 상에서 많은
수의
반도체를 배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한층에 반도체를 최대의 밀도(집적도)로 배열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층을 형성시키고 다시 반도체를 배열하는 것이다. 단층집에서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그냥 가운데를 지키는 것이다. 그리고 공이 오는데로 움직이면서 막는다. 적지 않은
수의
공이 가운데로 오기 때문이다.이번 월드컵에서는 한국의 김병지나 이운재가 어떤 활약을 보일지 지켜보자 ... ...
우주에서 만들어진 생명의 씨앗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공급한 베른슈타인 박사팀의 실험이 그렇지 않았던 카로 박사팀의 실험보다 더 적은
수의
아미노산을 발생시켰다.미국 샌디에이고 소재 캘리포니아대학의 제프리 바다 박사는 “이번 연구는 생명을 구성하는 분자가 우주 전체에 걸쳐 뿜어져 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며, “우주에서 생명이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반응공정을 추정하기 위해 특화된 방법이다.신약개발을 위한 신물질 합성에는 많은
수의
다양한 화합물을 무작위로 합성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특정질환에 약효가 있으리라고 추정되는 화합물의 후보군을 집중적으로 합성해야 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비만 치료제의 후보물질에 ... ...
유전자가 운동선수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갖는가를 파악하는 일은 스포츠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럼에도 유전자로 인해 선
수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믿는 학자들은 하나도 없다. 그만큼 후천적인 환경이 중요하다.예를 들어보자. 사람마다 지방의 함유량이 다르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지방의 분포는 어떨까. ... ...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정당성이 담보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하지만 포퍼는 기존 이론에 합치되는 아무리 많은
수의
지지 증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이런 증거가 이론의 진리성을 확립해줄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과학의 발전은 기존 이론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경험적 사실이 관찰됨으로써, 그 이론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