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역.환경운동가 마르쿠스 에릭슨 박사도 비슷한 연구를 했어요. 2007년부터 6년 동안 길이 22m의 작은 배를 타고 전세계 바다를 항해하며 해양 쓰레기가 얼마나 많은지 측정했어요. 그 결과 탐사에서 건져올린 플라스틱 쓰레기 양은 약 26만t으로, 에릭슨 박사가 예상했던 양보다 100분의 1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약 8μm, 전체 길이 약 10만km, 몸속 ‘골목길’로 불리는 이것. 바로 모세혈관이다. 굵은 혈관인 동맥과 정맥이 ‘고속도로’라면 세동맥(가는 동맥)과 세정맥(가는 정맥)은 ‘국도’에 비유할 수 있다. 모세혈관은 이들 ‘국도’에서 뻗어나와 작은 마을까지 다다른 골목길쯤 된다. 심장에서 출발한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타이탄에는 무려 수십 개의 바다가 있었다. 그 중에는 길이가 32km를 넘는 바다도 발견됐다. 지구 밖 천체에서 바다가 발견된 건 처음이었다. 훗날 과학자들은 카시니가 레이더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바다가 메탄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과학자들은 이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접목했다. 사람이 로봇 팔을 붙잡고 밀거나 당기면, 이 힘의 크기에 비례해 스프링의 길이가 변한다. 로봇에 연결된 컴퓨터가 이 값을 측정하면 사람이 낸 힘의 크기를 역으로 알아낼 수 있다. 로봇 팔에는 각도기도 달려 있다. 같은 힘을 내더라도 팔을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지에 따라 근육을 쓰는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윤혜정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면상펄프는 종이를 만드는 펄프보다 섬유의 길이가 더 긴 고급 펄프를 원료로 만든다”며 “뜨겁지 않은 바람으로 천천히 건조시켜 표면적을 넓혀 흡수성을 좋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러나 흡수층 재료로 면상펄프만 쓸 수는 없다. 원료 자체가 고급인데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언제?”라고 묻는다. 과거 사회적 약자들의 아픔이 미래의 사회적 약자들이 살아갈 길이 되게 하려면, 지금 바꿔야 한다는 뜻이다. 지상 123층, 높이 555m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초고층 건물인 롯데월드타워가 개장한 지 6개월이 지났다. 많은 우려와 논란이 있었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 ...
- 도전! 자전거 마스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한쪽으로 기울면 그 방향으로 앞바퀴가 꺾이는 현상으로, 효과의 크기는 트레일★의 길이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자전거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캐스터 효과를 줄이고, 반대로 자전거의 방향을 쉽게 바꾸고 싶으면 캐스터 효과를 크게 하면 됩니다. 산악 자전거는 다른 자전거보다 트레일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측정기를 밟으면 누르고 있는 힘이 화살표로 표시되는데, 힘이 셀수록 화살표 길이가 길어진다.만약 두 개의 발판에 양발을 나눠 밟으면, 양발의 힘이 얼마큼 다른지 알 수 있다. 금메달을 완성시키는 스포츠 과학자스포츠 선수들이 이곳에서 단순히 측정만 하고 끝나는 것은 아니에요. 각 종목별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무기고 먼저 배치노 교수의 말처럼 배는 목적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천차만별이다. 길이가 100m 안팎인 소형 여객선이 있는가 하면, 원유 30t(톤)을 운반하는 초대형 유조선은 약 350m로 높이 274m인 63빌딩보다 길다. 노 교수의 관심사는 용도에 적합하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배를 설계하는 일이다. 그는 ... ...
- [과학뉴스] 전염병 모기, ‘왕’ 모기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사진). 즉, 모기의 천적인 왕모기를 이용해 모기를 잡겠다는 의도다. 광릉왕모기는 몸길이가 약 1.5~2cm로 모기보다 크며, 유충일 때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다. 다 자라면 암수 모두 흡혈하지 않고 꽃의 꿀만 따 먹으면서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이전까지는 광릉왕모기를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