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남성은 이제 사람의 윤곽과 사물의 형체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답니다.하지만 인공망막의 기능은 아직 눈앞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람의 손 크기를 알아보는 정도예요. 또한 수술과 치료비용은 거의 3억 원이나 돼요. 따라서 앞으로 실제 눈처럼 더욱 정교하게 물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비용도 낮춰야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렇게 5개국 연구진이 사람 유전자의 종류와 그 기능을 밝히기 위해 함께 연구한 것으로, 2003년 사람 유전자지도를 발표하면서 끝이 났다.유전체★ 유전자와 염색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병의 발생원인, 통계로 밝혀요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발달이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벼운 우울증이 있거나 사회적, 직업적인 기능이 비교적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도 총 13명이었다. 특히 3명은 학대를 당하고 수 년이 흐른 조사 당시까지도 신체적인 후유증이 남아 있었다.학대의 대물림은 자녀학대로만 이어지지 않는다. 학대 피해자는 ...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 이런 물질은 지구에서 자동차를 만들거나 기능성 의복을 만드는 소재로도 쓰일 수 있다.우주 비행체에는 무인 이동 유도시스템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달 표면에서 안전한 착륙 장소를 찾거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우주선을 도킹시킬 때 충돌하지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모니터를 보며 가상으로 손을 움직이는 훈련을 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알아냈다. 그리고는 활성화됐던 각각의 부위에 마이크로칩을 심어 손을 움직이려 할 때 나오는 뇌의 전기신호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 전기신호를 손동작과 정확히 짝짓기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렇게 다른 생명과의 접점이 일절 없이 살아남는 게 과연 가능할까요? 그보다는 차라리 기능이라고 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이 나무들은 생명이라기 보단 그저 기계라고 보는 게 맞지 않을까요?”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 나무들에게서 수상한 느낌이 드는 것도 ...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1. 대상 :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TV 사용 등으로 눈의 피로가 많은데, 시력에 대해 궁금한 것을 해결하고 싶은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3. 수업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표준화4)된 것들이다. ‘모든’ 생물종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유전자를 선별해 기능에 맞춰 부품화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생물의 특성상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유전자 서열이 조금씩 다르다. 동일한 아미노산을 만드는 유전자 정보(코돈)라 하더라도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코돈이 달라 그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순간부터 이 박테리아들은 우리 몸을 먹이로 삼는다. 체온이 낮아지고 면역 체계가 제 기능을 못하면서 우리 몸이 더 이상 박테리아의 활동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장과 같이 평상시에 박테리아가 많이 모여 있는 부위는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부패 속도가 빠르다. 몸밖에 있던 호기성(산소가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 UCLA 나오미 아이젠버거 교수는 가상의 공 넘기기 게임에서 소외된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는데요. 심리적 고립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부위는 신체적 고통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부위와 동일했습니다. 그만큼 사회에서 누군가를 배신하고, 고립되는 것은 큰 아픔을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