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리이스
윤활유
그리스교회
교회
그리스정교
정교
활제
d라이브러리
"
그리스
"(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공리)은 누구나 인정 할 수 있는 명제여야 한다.이는 현대 수학의 체계와 거의 같다.
그리스
와는 다르게 다른 문명에서는 현실의 필요성에 의해 기하학이 발전했다.예를 들어 구장산술을 보면 천문관측이나 건축을 위해 기하학을 연구했음이 나타난다.기하학의 연구 결과는 실생활에 드러나기 ... ...
성형수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그 예다.성형외과(plastic surgery)라는 용어는
그리스
어로 ‘형태를 만든다’는 의미의 플래스틱코스(plasticos)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실제적인 성형수술의 기원은 기원전 800년 고대 인도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인도 경전에는 잘린 코를 도공들이 재건했다는 기록이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도는 행성등의 궤도가 원이 아니라 타우너이라는 것을 발견한 케플러(1571-1630)의 업적도
그리스
의 기하학이 없었다면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다.이처럼 수학은 시대마다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고 미래에도 그러할 것으로 예상된다.과학을 인도하다.일반상대성이론도 독일의 리만(1826-1866)이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변하지 않는 것으로 믿었던 밤하늘에서 갑작스런 별의 출현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그리스
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Hipparchos, B.C190?-125?)는 별의 위치와 밝기가 정확히 기록된 목록이 있다면 하늘에서 일어난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기원전 150년 경에 로도스 섬에 천문대를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결과는 어찌된 셈인지 그 후의 사람들로부터 무시되고 잊혀지고 말았다. 기원전 100년 경
그리스
의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비슷한 방법으로 지구의 둘레가 2만8천8백km라는 결론을 얻었고, 실제보다 훨씬 작은 이 값을 오랫동안 사람들이 믿었다. 이로 인해 1600년이 지난 후 콜럼버스는 지구를 돌아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일컬었다. 세라믹스(Ceramics)의 어원이 점토(흙)를 고온에서 구워 만든 것을 뜻하는
그리스
언어의 케라모스(Keramos)에서 기원한 것도 같은 이유다.2차대전 이후 등장한 파인세라믹스는 각종 전자 부품과 기계 부품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이 기존의 축전기 재료보다 1만배나 높은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통해 우주 한 가운데 서있는 새로운 인간에 대한 개념을 제시했다. 즉 원근법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했던 천동설의 연장이자 주체적 시각에서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인본주의의 승리를 표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과학자를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정확하게 다섯 가지만 존재한다는 이 ‘놀라운’ 사실은 2500년 전 고대
그리스
사람들도 이미 알고 있었다. 당시 기하학은 가장 잘 발달된 수학 분야로 완성된 모습을 갖춘 정다면체 이론은 기하학에서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은 이 멋진 정다면체 이론을 어딘가에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물리학
그리스
신화에서 1백개의 눈을 가진 괴물 아르고스는 여신 헤라의 황금사과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헤르쿨레스는 아르고스를 죽이고 황금사과를 훔쳐냄으로써 그에게 떨어진 12가지 벌 중 하나를 해결한다. 아르고스를 총애했던 헤라는 그 1백개의 눈을 가장 아름다운 새 중 하나인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조금 더 관심을 가진 이들은 하늘의 변화를 꼼꼼히 살피기 시작했을 것이다. 고대
그리스
인들은 별 사이를 움직여 다니는 특별한 별들이 있다는 걸 알아챘다. 온 하늘에 걸쳐 맨눈으로 볼 수 있는 8천여 개의 별 가운데 5개의 밝은 별은 다른 별 사이를 움직여 간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래서 다섯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