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형
조화
문체의 우아
일치
대칭
병형
균세
d라이브러리
"
균형
"(으)로 총 1,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부츠를 밀어낸다. 이밖에도 발의 힘을 플레이트에 잘 전달시켜주는 부츠와 활주할 때
균형
을 잡아주는 폴 등 모두가 조화를 이뤄야 설면에서의 스피드를 즐길 수 있다. 고글이 잡아야하는 두 마리 토끼 그리고 스키장에서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다. 고글을 착용해야 하는 이유다.{/IMG_TXT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원반이 선수의 손을 떠나 허공을 가로질러 날아갈 것만 같은 시각적 역동성 못지 않게
균형
잡힌 포즈라는 시각적 효과를 동시에 얻고 있다. 소우주와 대우주의 관계 그렇다면 그림에 있어서 대칭성은 어떻게 표현됐을까? 르네상스 시대에 확립된 원근법은 눈에 비친 외계를 2차원의 평면에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생각한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적했듯이 우리의 손은 천성적으로
균형
을 이루고 있지 않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오른손잡이인 것은 유전적 경향이며 이러한 증거는 오랜 인류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발견할 수 있다. 한가지 예로 사람의 옆얼굴을 그린 그림의 경우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결국 이 힘살들은 사람이 걸을 때 한발이 땅에 닿기 전 중력의 중심을 잡아당겨 몸의
균형
을 유지시키는 구실을 한다. 유인원에게는 이와 같은 엉덩뼈와 힘살이 없어서 두발로 걸을 때 온몸이 좌우로 움직인다.물론 몸집의 크기로 사람과 유인원을 구분할 수도 있다. 침팬지는 암·수의 차이가 별로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떨어뜨리기 전에는 지우개의 무게(중력)와 고무줄이 지우개를 잡아당기는 힘(탄성력)이
균형
을 이룬 채 지우개가 컵의 가장 자리에 있다. 그러나 종이컵을 떨어뜨리는 순간 지우개는 무중량상태가 돼 고무줄이 잡아당기는 컵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무중량 상태란 중력은 작용하지만 중력의 효과가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단순히 덩치가 커지는 것에 만족하지 말고,
균형
있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때다. 보다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 국민체력증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가까운 곳에서 안심하고 뛰놀 수 있는 장소와 놀이 기구가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포크를 동전쪽으로 향하게 만들면 전체의 무게중심을 컵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균형
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이다. 안정감을 확인하고 싶으면 유리잔에 물을 따라서 들어올리고 물을 마셔본다. 10원짜리 보다는 100원짜리가 잘 되고 가능한 한 크고 무거운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② 찌그러지는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같지만 긴 막대를 들고 걸으면 회전하는데 저항이 커지게 돼
균형
을 잡기 쉬워진다. 또한
균형
잡는데 필요한 시간도 벌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게 된다. 전통적인 외줄타기 묘기에서 막대를 대신해 양손을 쫙 펴는 것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를 두고 물리학적인 용어로는 회전 관성이 커진 효과라고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수 있다. 체온이 떨어져 가면 몸은 잃어버리는 열을 보충하기 위해 근육을 떨게 해서
균형
을 맞추려고 하는데, 흔히 몸서리 현상이 이것이다. 그러나 체온이 34℃ 이하로 떨어졌을 때는 몸서리마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23-25℃까지 떨어지면 그대로 죽음에 이르게 된다. 무력감, 피로, 몸서리가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리고 별 내부의 핵반응에 밀려 팽창하려는 힘과 중력에 의해 수축하려는 힘이 서로
균형
을 이루게 되면 비로소 수축을 멈추고 안정된 별로 자리를 잡는다.별은 먼저 수소를 연료로 핵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고 점점 어른 별로 변해간다. 수소를 핵융합하고 나면 헬륨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별의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