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없을까요? 이안 그리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연구소 교수팀이 그 답을 찾아
국제
학술지 ‘IMA 응용수학저널’ 6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근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조상의 모습과 가깝다고 본다.하지만 2017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거대 바이러스가 고대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최근에 등장한 신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치사율을 행사할 여지도 있다.2017년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행정대학원) 내 벨퍼과학
국제
문제연구소는 북한이 비공식적으로 여러 생물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그중 천연두바이러스도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했다.치사율이 80~90%에 육박하는 에볼라바이러스도 과거 옛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악감정이 있어서가 아니다. 인간과 야생동물의 접촉이 늘어난 게 가장 큰 이유다. 2008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는 1940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생한 감염병 총 335건 중 60.8%가 인수공통감염병이고, 이중 71.8%가 야생동물에서 유래했다는 분석 결과가 실렸다. 가축보다는 야생동물에 의한 감염 횟수가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결과는 계속 나오고 있다.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질병통제 예방센터(CDC) 등 공동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 오브 메디신(NEJM)’ 에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가 에어로졸 상태에서도 3시간까지 살아남는다는 연구 결과를 2020년 4월 16일 발표했다. 이는 공기감염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고 봤던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예정이에요. 김용규 책임연구원은 “UAS를 사용해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라디오존데를
국제
표준에 맞춰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앞으로는 UAS로 테스트한 라디오존데의 측정 기능이 얼마나 정확한지 증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변종으로 밝혀졌다.세계보건기구(WHO)는 2014년 8월 8일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
국제
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WHO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2016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대유행 동안 2만8616명이 감염됐고, 1만310명이 사망했다.에볼라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 계열 중 하나인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만들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유전체혁신연구소와 덴마크공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임신부의 대변, 티베트의 온천, 남아프리카의 생물반응기, 바다, 호수 등 40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얻은 대규모 DNA 데이터베이스에서 351개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발견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네덜란드와 독일
국제
공동연구팀은 2020년 5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4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단일클론항체는 부작용이 적은 암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