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질병이 명백한 인종적 패턴을 보이는 것은 환경 조건이 비슷해서인데, (굳이) 인종으로 구분한다”며 “불안정하고 잘못 해석될 가능성도 높은 인종은 과학 개념으로 는 위험하기만 할 뿐 필요하지 않다”고 신랄함을 감추지 않았다.“과학자들도 인종에 반대한다!”하지만 이들의 주장이 이미 오래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혹)인지 악성(암)인지 구분하기 위해 정밀검사를 받게 된다. 그런데 정밀검사를 해도 구분이 잘 안 가는 결절이 있다. 결절이 작을수록 정확도는 더 떨어진다.대한갑상선학회도 5mm 이하의 작은 갑상샘 결절은 양성과 악성을 진단하기 어렵고, 암이라고 하더라도 생명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검사와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3~4개월 무렵에는 엄마를 자신을 돌봐주는 ‘좋은 엄마’와 화를 내는 ‘나쁜 엄마’로만 구분한다. 그리고 아기는 자신이 가지고 태어난 선천적인 공격성과 미움을 모두 나쁜 엄마에게 돌리는데, 스스로 화가 나면 날수록 엄마가 자신을 미워한다고 여기게 된다. 즉 마음속에 나쁜 엄마만 점점 ...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것만으로는 돌고래와 사람을 구분할 수 없었던 것이다.네트워크에서 인간과 사물을 구분할 수 없을 때 인간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어떻게 구별할까. 사물은 사이보그가 되어 인간과 같은 지위를 획득하게 될까. 사물인터넷과 만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그리고 서로간의 ... ...
- 거위 VS 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킬 수 있어요. 몸은 희고 목이 길며 부리는 노란색인 점이 오리와 비슷하죠. 오리와 구분하기 위해선 부리 위쪽에 볼록하게 나온 혹을 확인하면 돼요. 구스다운으로 불리는 거위털은 오리털보다 비싸지만 냄새가 덜 나고 가벼우며 보온성과 복원력이 훨씬 좋아 이불, 외투 등에 많이 사용되지요. +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AI 발생지로부터 500m 반경은 ‘오염지역’, 3㎞는 ‘위험지역’, 10㎞는 ‘경계지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오염지역 내 오리와 닭, 알 등을 모두 매몰하고 발생 농장을 모두 폐쇄한다. 위험지역 내에는 가축과 차량 등의 이동을 완전 차단하고, AI가 퍼질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면 지역 내 가금류를 ...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엄마들은 자신이 돌아올 때까지 혼자 버려져 있어도 생존하는 아기와 허약한 아기를 구분해서 양육할 대상을 선택하곤 하죠. 또 닥친 문제들이 이미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상황에서, 여성들은 아기가 자신의 무책임 때문에 죽었다기보다는 ‘스스로 원해서’ 죽었다고 믿으려고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전파의 형태가 0과 1이라는 신호를 조합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신호가 더해졌을 때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자체적으로 이런 신호를 감지해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할 수 있고, 그 결과 훨씬 깨끗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계산하면 없는 화면도 나온다!컴퓨터 언어인 이진수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암보렐라 꽃의 구성요소는 바깥에서부터 꽃을 보호하는 포, 그 안쪽에 꽃잎과 꽃받침의 구분이 없는 화피편, 수술, 그리고 가장 안쪽에 암술이 있다. 재미있는 점은 암보렐라의 각 요소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모양이 조금씩 바뀌면서 안쪽에 위치한 다른 요소로 변한다는 것이다. 포는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미세먼지와 섞인다.중국산 미세먼지는 성분이 다르다중국산 식재료를 전문가가 척 보면 구분해내는 것처럼, 미세먼지도 성분을 분석해 보면 출처를 알아낼 수 있다. 김철희 부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과 인천 대기의 황산화물 농도를 측정해 미세먼지가 중국으로부터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