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몬스터를 잡아라!] 더해서 10이 되는 수는? 덧셈·10 변신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놀이북 21쪽과 함께 보세요! 구름 위에 올라탄 덧셈 변신 몬스터가 두 팔을 활짝 벌려 반갑게 인사하고 있어요. 10 몬스터는 10살 생일을 맞은 몬스터를 축하하기 위해 촛불 모양으로 변신했어요. 변신한 덧셈, 10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볼까요? 더해서 10을 만드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의 각 칸에 ... ...
[수학뉴스] 엉킨 머리 빗기 어렵나요? 수학을 이용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20년 만에 그 해답을 찾았습니다. 라크슈미나라야난 마하데반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
팀은 나선 모양으로 꼬인 털 열두 가닥을 3D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털이 얼마나 꼬여 있는지 숫자로 나타내기 위해 ‘고리 밀도’를 계산했어요. 고리 밀도는 단위길이당 꼬인 횟수의 평균이에요. 연구 결과 ... ...
[특집] 문명 백과사전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있게 됐다. 해독한 사람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
팀 해독 방법평행사변형의 토지를 직사각형과 직각삼각형으로 나눈 그림이 새겨져 있었다. 연구팀은 이 중 직각삼각형의 길이가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는 세 자연수의 비로 이뤄져 있는 것을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 아이반 코윈
교수
, 제이곱 치머만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 편집자 주. 만 40세 미만의 젊은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수학계 최고 영예 ‘필즈상’ 시상식은 7월 5일 핀란드 알토대학교에서 열립니다. 누가 영예의 ... 이끄는 리더”라고 치머만
교수
를 소개했습니다. 과연 정수론의 떠오르는 샛별 치머만
교수
가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 영재들과 함께 문제 풀면 수학 자신감이 쑥!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30년 동안 우리나라 수학 국가대표를 지도해 오신 분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한국 대표단 단장으로, IMO 집행위원회(IMOB) 선출직 위 ...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다음 쪽에 나오는 ‘대한수학회 65번 문제’를 해결하는 것! 문제 풀고 송
교수
님께 멘토링 받으러 가요~ ... ...
[과학뉴스] “간이 잘 뱄나~” 맛보는 기미상궁 로봇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모방해 토마토 달걀 볶음을 섞어 맛보는 로봇을 개발했다. doi: 10.3389/frobt.2022.886074
교수
팀이 개발한 로봇은 로봇팔의 전기전도도 센서로 짠맛을 측정한다. 그 결과 서로 맛이 다른 토마토 달걀 볶음 9종류를 기존 전자 혀 기술을 사용했을 때보다 두 배가량 잘 구분했다.아르센 아부두알리 연구원은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마치고 전체 평균에 비해 내 게임 기초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리포트로 받아 본다.이
교수
는 “우사인 볼트를 연구한 정보가 일반 러너들에게도 적용되듯이, e스포츠 프로를 연구하면 e스포츠 전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임에 인공지능을 더하다알파고 이후에도 AI 게임 ... ...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자체를 투명하게 만든 연구는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엔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팀이 두 종류의 나노 결정 산화물을 붙여 가시광선을 100% 가까이 통과하는 반도체를 만들었습니다. 2020년엔 포스텍(POSTECH)과 성균관대 공동연구팀이 투명 P형 반도체를 개발하기도 했죠. 시작부터 술술 ... ...
[융복합@파트너] 까치 둥지를 보면 기후변화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원인이라고 생각해 이상기후의 발생 일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교수
처럼 생태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국내에 많지 않다. 풍족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그는 생태학 연구만이 갖는 매력이 자신의 연구를 이끄는 동력이라고 말한다.“생태학 연구의 가장 큰 매력은 교감이라고 ... ...
[인터뷰] “빅데이터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아요”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협업해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참여하고 있다.차
교수
는 “다양한 전문가와 사회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일이 무척 즐겁고 신난다”고 말했다. 도전에 망설이는 이들에게 메시지도 남겼다.“우리는 일어나지 않는 일들을 고민할 때가 있어요.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