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인체의 비례를 광범위하게 연구했고, 자신의 그림에 황금비를 이용했다(그림1).(그림 2)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의 한 교과서에 실린 것과 유사하게 그린 것이다. 이 그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배꼽의 위치가 사람의 몸 전체를 황금분할하고, 어깨의 위치가 배꼽 위의 ...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우리에게 끊임없이 ‘선택’을 요구한다. 유전자조작식품을 먹어야 할 것인가. 복제술을 이용해 아기를 얻겠다는 불임부부의 주장을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결혼 상대를 정할 때 상대방에게 건강은 물론 지능마저 알 수 있는 유전정보를 달라고 요구해야 할 것인가.과학동아에서 오랫동안 이 분야를 ... ...
- 곤충진기명기과학동아 l2000년 06호
- 계절과 같은 기후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적당한 기후를 찾아서 곤충은 날개를 이용해 수직으로 날아오른 다음 바람을 타고 이동한다. 황제나비와 사막메뚜기는 상승기류를 타고 1-2km까지 날아오른다.얼을 빼는 울음소리곤충이 위험에서 벗어나는 기본적인 방법은 날거나 뛰는 것이다. 그도 ... ...
- 세계의 군함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대공중전에 관한 호위와 경계를 담당하고, 대공 초계 구축함은 대형 레이더를 이용해 적의 공습에 대처하면서 아군의 항공모함과 항공기 등을 유도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한다. 또한 특별히 대잠수함 공격력을 강화시켜 잠수함만 전문으로 격침시키는 대잠 구축함도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개의 표적을 ... ...
- 간의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세차운동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10년에 몇 분이나 움직이는지를 알아냈던 것이다. 간의를 이용한 정밀한 관측을 바탕으로 천체운동의 정밀한 수치가 나올 수 있었고, 또 이를 바탕으로 우리 조상들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역법을 만들 수 있었다 ... ...
-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멈출 수 있을지도 모른다.뇌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가상현실헬멧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각만으로 TV나 음악을 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스위치 등을 없애고 단순히 생각과 희망만으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현재 세계적으로 10개 이상의 ... ...
- 현실화된 차세대 고속 인터넷 Ⅱ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더 많은 기능을 구현시키고 있다. 이는 인터넷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원 라츠코는 “인터넷II 프로젝트가 단순히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프로젝트가 완수되면 디지털도서관, ...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연구는 주로 공학과 의학 분야에 응용된다. 뇌의 주요 기능의 하나인 청각 기능도 음성을 이용해 기계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꾀하는 공학적 응용, 그리고 청각 장애인을 위한 청각칩 이식에 관련된 의학적 응용의 두가지로 대별된다.물론 공학적 응용의 경우 연구성과물이 기계에 부착되는데 비해 ...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비록 외적인 모양은 인간과 유사하지 않지만, 인간 두뇌 내부의 정보처리 기능을 이용해 지적인 행동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인질구출 작전에 투입인공생명에서 추구하는 로봇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때 사전에 짜여진 완벽한 계획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측하지 ...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튀빙겐 대학의 닐스 비르바우머 교수팀과 스탠포드 대학의 러스티드 교수팀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 모니터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그들은 전신마비 증세를 앓고 있는 환자들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뇌파로 조종되는 컴퓨터 키보드를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 ...
이전111611171118111911201121112211231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