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스페셜
"
종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만들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자연상태에서는 서로 소통을 하지 않는 박테리아 두
종
이 인공세포를 매개로 소통할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자들은 비브리오 피셰리가 내놓은 3OC6 HSL에 반응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인식하는 3OC12 HSL을 만드는 게놈을 지닌 인공세포가 제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상대적으로 짧아 한 무리에서 두 세대의 암컷이 동시에 새끼를 낳아 키우는 경우가
종종
나온다. 참고로 자연 상태에서 임신을 하는 인류 집단에서도 이런 경우가 없지는 않다. 필자의 부모세대의 경우 삼촌이나 고모가 더 어린 경우가 더러 있다. 조사기간 동안 태어난 525마리 가운데 31%인 161마리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
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작은 섬 타투시(Tatoosh)를 둘러본 뒤 연구에 최적지라는 사실을 깨닫고 1970년부터 핵심
종
에 대한 본격적인 실험생태학 연구를 진행해 많은 결과를 얻었다. 25년이 지난 1995년 페인은 마침내 불가사리를 더 이상 잡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이 영원히 살 것도 아니기 때문에 ... ...
슬픔을 피하지 않는 사람이 더 행복한 이유
2016.12.20
diversity)’ 또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생태계에서
종
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원리에서 착안해 사람들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다양성이 어느정도 되는지를 수치화했다. 평소에 느끼는 감정의 수가 0이라면 감정 다양성 수치는 0이고, 감정의 수가 늘어날수록 감정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일이 반복됐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분석기법은
종
의 다양성 보존을 위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한스키가 1999년 펴낸 ‘메타개체군 생태학’은 이 분야의 바이블이다. 2000년 한스키는 헬싱키에 메타개체군연구센터를 설립해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사이언스 제공 아프리카 남서부 앙골라의 광산에서 404캐럿의 대형 다이아몬드 원석이 2월 발견됐다. 길이 7㎝에 순도는 최고등급, 색상은 무색으로 ... “‘호랑이 꼬리 해마’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리스트에 등재된 멸
종
위기
종
인 만큼 이번 연구의 의미가 더 크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박테리아와 낫토와 청국장의 재료인 콩에서 특유의 냄새를 만들어내는 박테리아가 같은
종
류이기 때문이다. 즉 냄새 분자의 가짓수와 상대적인 비율은 좀 다르겠지만 비슷한 계열이기 때문에 서로가 연상되는 냄새가 나는 것이다. 즉 고초균(Bacillus subtilis)이라는 박테리아의 한 균주인 낫토균(Bacillus ... ...
쌀쌀한 날씨와 함께 찾아오는 우울감, 그 이유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증세로는 불면증, 식욕저하가 발생하는 일반 우울증 환자와는 달리 잠이 너무 와서 하루
종
일 무기력하게 누워 지내고 식욕도 왕성해져 탄수화물 섭취가 늘어나 살이 찌게 된다. 물론 일반적인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기분이 우울해지고 의욕이 없어지는 증상도 보인다. 우울증에 스트레스까지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무리가 고립돼 살아가며 동계교배가 자주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종
의 멸
종
을 막는데 서식지 보호와 함께 무리의 다양성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얘기다. 논문을 읽다가 우리나라의 ‘wild leopard cat’의 게놈도 해독했다는 구절을 읽고 순간 우리나라에서 표범을 발견한 건가 해서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레이저 개발을 주도하고 싶다는 유제윤 연구위원 - IBS 제공 차세대 연구자 양성이 최
종
꿈 앞으로 연구단은 레이저의 출력을 20PW 이상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더욱더 강력한 레이저를 개발함으로써 실험실 안에서 일반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천체물리 현상이나 고에너지 입자 가속 등의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