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신소개"(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나노 연구 분야에 꾸준히 지원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8.07
- 제원호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 “현재 우리나라는 후발주자로 시작해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 연구는 많지만,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발주자형 연구를 개척해 전 세계를 이끄는 위치로 발돋움해야 합니다.” 제원호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는 고체 ...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동아사이언스 l2013.07.25
- 이영희 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 “나노연구가 산업화로 이어지는 것은 필연적입니다. 기초연구 성과 자체가 바로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나노 분야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인 셈이지요.” 23일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이영 ... ...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8
- 과학기술 정책은 미래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을 책임질 핵심이다. 빠른 시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안목으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금의 과학기술자를 배려함과 동시에 초·중·고 과학 꿈나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충족시켜 이공계 진학을 장려하는 일 ...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동아사이언스 l2013.06.28
-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반도체를 만드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실리콘을 이용한 증착 공법으로 웨이퍼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작게 잘라 전도도가 있는 반도체로 바꿔야 한다. 그런데 인쇄 기법으로 공정을 완전히 바꾸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도 반도체를 만들 수 ...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동아사이언스 l2013.06.27
- 널리 퍼져있는 오해는 암이 현대성의 질병이라는 것이다. 환경오염물질과 나쁜 식습관, 현대인의 생활방식과 관련된 다른 많은 요소들 말이다. 진실은 전혀 다르다. 암이란, 빈도는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모든 다세포 생물을 위협하는 질병이다. 사람에서 암 발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건 오늘 ...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2013.06.25
- 러시아 경제학자 콘드라티에프의 장기파동주기에 따르면 2007~2009년 금융위기로 제5차 파동이 끝나고 제6차 장기파동의 시작이 예상되고 있다. 그렇다면 제6차 장기파동을 주도할 새로운 기술혁신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본 글에서는 제6차 파동의 시작과 관련된 배경과 향후 전개방향을 전망해보 ... ...
- KAIST와 세상을 잇는 창_KAIST 학생홍보대사, 카이누리KAIST l2013.06.03
- KAIST 캠퍼스 투어를 해보고 싶어요!”“, KAIST 학생들의 생활이 궁금해요!”“, KAIST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KAIST에 관한 궁금증이 마구마구 생겨나는데 질문에 대답해줄 마땅한 사람을 찾지 못했다면 KAIST 학생홍보대사 카이누리를 찾아라. 지금 보고 있는 이 ‘ KAIST 비전’도 카이 ... ...
- 「창조경제 종합포털」시범서비스 오픈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창조경제에 대한 소통의 창구로서 「창조경제 종합포털(Creative Korea)」을 구축하여 5월 22일부터 시범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창조경제 종합포털(Creative Korea) : http://www.creativekorea.or.kr 이번 시범서비스에서는 창조경제 개념 설명, 사례 소개, 정보자료(교육, ... ...
- 분자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동아사이언스 l2013.05.07
- “대장균에서 맞는 사실은 코끼리에서도 맞는 사실이다.” - 프랑수아 자콥 분자생물학의 개척자인 프랑수아 자콥이 올해 4월 20일 93세로 타계했다. 1965년 노벨상을 받은 직후인 45세 무렵의 모습이다. - 노벨재단 제공 20세기 중반 분자생물학을 개척한 과학자들 중 두 사람이 짝을 이룬 경우 ... ...
-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_장학생 김세엽 학생 인터뷰KAIST l2013.05.03
- KAIST는 매년 약 900명 내외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많은 혜택과 함께 학교에서 공부할 기회를 주어 미래의 인재로 양성하는데 힘을 쓰고 있다. 한편, KAIST에 합격하는 900명의 학생 중에 탁월한 역량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약 20명 정도의 학생들이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 장학생(이하 KPF 장학생)으로 선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