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서로 상호작용하며 시냅스를 생성하는데, 이 때 서로 ‘코드’가 맞으면 두 신경
세포
가 연결돼 소통이 가능해진다. 여러 종류의 시냅스 접착 단백질들이 그동안 확인됐지만 각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연구팀은 시냅스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해 ‘시냅톰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종은 아데노바이러스와 레트로바이러스다. 아데노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로 모든
세포
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간 인간은 감기에 걸리면서 아데노바이러스를 많이 접했고, 그래서 아데노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막아버리는 항체를 갖고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의 ... ...
코로나 치료제 평가해보니…렘데시비르·덱사메타손 '선두'
연합뉴스
l
2020.07.17
역시 사이토카닉을 막기 위한 혈액정화기 '사이토소브'를 사용하는 치료법, 줄기
세포
를 활용한 치료법 등은 코로나19 증상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모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타 치료법 가운데 코로나19 환자를 엎드리게 해 기도(氣道)를 여는 조처(Prone positioning)와 인공호흡기 등 ... ...
옥스퍼드 코로나19 백신 순항…"항체+T
세포
이중방어막 형성"
연합뉴스
l
2020.07.17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의 취재원은 텔레그래프에 "매우 조짐이 좋다"면서 "둘(항체와 T
세포
)의 조합이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취재원은 "현재까지는 매우 좋지만 지금이 중요한 순간"이라며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덧붙였다. 옥스퍼드대 백신은 현재까지 ... ...
[백신 업데이트] 임상3상 돌입 코로나19 백신 최소 3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점검하는 임상 1,2상을 마쳤다. 시노백의 백신은 ‘불활성화 바이러스’ 방식으로,
세포
침투와 증식을 하지 못하도록 화학물질 등으로 ‘고장을 낸’ 바이러스를 체내에 주입해 체내 항체를 만든다. 5월 가장 먼저 임상 3상에 들어갔던 영국 옥스퍼드대와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벡터(전달체)’ ... ...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망막 변성 질환에 걸려도 광수용체
세포
뒤에서 뇌로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절
세포
가 살아남기 때문에 안구내 마이크로 전극을 이식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원리다. 그러나 인공 망막 장치를 이식받은 환자마다 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그동안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다. 인공 망막 장치는 ... ...
"비만할수록 코로나19에 더 취약…비만도 중증 악화 위험인자"
연합뉴스
l
2020.07.16
"비만일 경우에는 코로나19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지방
세포
는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인터류킨-6을 분비하므로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고 중환자실에 입원할 정도로 악화하는 원인을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아미노산이 아스파트산(D)인 유형보다 감염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또 나왔다. 이번에는
세포
실험 결과 인체 내 바이러스 량이 늘었다는 사실과, 전세계 주요국가 및 지역의 변이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다는 사실이 근거로 제기됐다. 하지만 여전히 논란이 많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셀 논문 캡쳐 ... ...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발견하는 방법을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와 신 교수는 “코로나19 환자의 면역
세포
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상세히 연구해 향후 치료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환자 맞춤 항염증 약물 사용에 관한 연구를 이어 ... ...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 12건 진행…5건 심사 중"
연합뉴스
l
2020.07.12
있다. 카모스타트는 만성 췌장염 및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세포
단계 시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했고, 감염된 마우스(쥐) 모델에서 생존율 개선 효과를 보였다. 종료된 5건의 임상시험은 '렘데시비르' 3건,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성분의 '옥시크린정'과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