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스페셜
"
세대
"(으)로 총 1,26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진화했고 그 결과 오류를 1억 분의 1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됐다. 사람으로 치면 한
세대
가 지날 때 게놈에서 오류가 30개 정도 생기는 셈이다. 이런 변이는 상황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진화’를 일으키게 된다. 미스매치 복구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이중나선 가운데 어느 ... ...
사용후핵연료 활용 숨통 트였다
2015.10.02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서 기울여야 한다"라고 밝혔다. 향후 원자력통제기술원은 차
세대
안전조치 계량관리기술 개발과 관련 시설 밀봉 원격 감시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하드웨어적 노력과 함께 핵비확산 문화와 안전성을 국제 사회에 널리 전파하는 소프트웨어적 노력을 균형있게 추진할 ... ...
네가와트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자동으로 감축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으로 서울대 차
세대
융합기술연구원이 주관하고 있는 ‘ICT융합을 기반으로 한 국민발전소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과제는 주목받을 만하다. 연구원 산하의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에서는 이 과제를 통해 국민발전소(National ...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경우 경제성 있게 생산할 수 있는 추정 매장량을 3500만 톤 이상으로 보고 있다. 차
세대
원자로로 개발 중인 소듐냉각고속로는 기존보다 우라늄 활용률을 100배 이상 향상시켜 우라늄 사용이 최소화된다. 앞으로 바닷물을 정제해 우라늄을 경제성 있게 얻는 기술까지 개발한다면 수만 년 동안 우라늄 ... ...
3
세대
한국형 원전, APR+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지난해 8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150만kW급 대용량 원전인 ‘APR+’가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표준설계인가를 취득했다. 한국형 원전으로는 OPR1000과 APR1400에 이어 세 번째 모델이자 핵심 부품을 모두 국산화한 것으로는 첫 번째다. 표준설계인가란 인허가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안전성 ... ...
일본의 기후변화 대응전략, ACE “Actions for Cool Earth”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2
일본 기술을 적극적으로 보급하는 동시에, 첨단 기술로 감축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차
세대
기술의 개발·보급으로 이어지게 하여 온실가스의 추가적인 배출 감축과 새로운 성장을 동시에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3년간 양국간 옵셋 크레딧 제도(Bilateral ... ...
안전한 미래를 위한 제4
세대
원자력발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05
있다. 현재의 3
세대
원자로보다 안전성과 경제성이 훨씬 높고 핵 비확산성은 향상된 차
세대
원자로, 제4
세대
원자력발전 기술이 그것이다. 안전성·지속가능성·경제성·핵확산저항성 4가지 목표전 세계의 원자력 선진국들은 4가지 목표를 세우고 제4
세대
원자력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다. 4가지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제공 제공 하지만 글을 읽으면서 내내 1965년 북한에서 연구가 갑자기 중단된 뒤 왜 한
세대
동안이나 잊힌 채 방치돼 왔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봉한학설이 정말 ‘노벨상 수상이 기대됐던’ 대단한 업적이라면 세계 곳곳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때가 기회다’라는 생각으로 뛰어들었어야하지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②]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자세히 들여다보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22
따라 사용후핵연료는 국가 책임 아래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고, 미래
세대
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위원회는 권고안을 통해 현재 개별 원자력발전소 등 임시 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는 저장 용량이 초과되거나 운영허가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인체에 응용하거나 건축 구조물 진단용 센서 전원 등의 소규모 전원, 로봇 등의 차
세대
전자장치의 전원으로 응용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의 에너지원으로도 검토되고 있다. 압전 소자의 응용 사례는 기기에서 소비하는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