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
2015.10.12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 KAIST 제공 유기태양전지는 신문을 인쇄하듯 간단한 공정으로 저렴하게 만들 수 ... 자에 실렸다. 풀러렌 대신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니 효율이 더 높아진 것은 물론 더
유연
해지고 내구성이 강해졌다. - KAIST 제공 ... ...
비만 할아버지 때문에 손자는 당뇨병에 걸린다?
2015.10.04
나눠 정리해 장엄한 생명의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풀어낸다. 저자 특유의 해학적이고
유연
한 문장으로 구성돼 있어 쉽고 재미있게 읽히는 것도 장점이다. 고대생물을 주제로 대중과 다년간 소통한 경험을 살려 각종 사례들을 알차고 알기쉽게 구성했다. 다양한 사진과 일러스트도 흥미를 더한다.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박철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인 ‘티엠디(TMD)’를 이용해
유연
한 수광(受光)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티엠디는 여러 층이 달라붙은 절리(節理)구조 물질로 높은 성능을 얻으려면 각 층을 한 장씩 떼어내 전자소자로 만들어야 한다.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붙였다. 또 두껍고 딱딱한 기존 우주복과 달리 첨단 복합소재를 사용해 튼튼하면서도
유연
하게 만들어 움직임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Z-2도 화성의 모래바람에는 속수무책이다. 화성에는 각종 먼지가 섞인 모래바람이 많이 부는 만큼 우주복에 묻은 먼지가 우주선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 ...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영감을 받은 태양전지가 개발됐다. 막스 스타인 미국 미시간대 교수팀은 얇고
유연
한 필름 형태의 갈륨·비소(Ga·As) 태양전지에 레이저를 이용해 칼집을 몇 개 냈다. 그 뒤 태양전지를 양 옆으로 늘이자 태양전지가 마치 커튼처럼 우아한 곡선 모양이 됐다. 태양전지의 모양이 잘 나올 수 있게 ... ...
‘쥬라기월드’ 최강 공룡과 ‘맞짱’ 뜬 안킬로사우르스, 비밀 병기는?
2015.08.31
꼬리 근육을 착실하게 진화시켜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다른 공룡들처럼 꼬리가
유연
했다가는 뼈뭉치를 휘두르는 과정에서 그 무게 때문에 근육이 파열되거나 척추가 뒤틀려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안킬로사우르스의 친척들은 점점 꼬리가 뻣뻣해지는 진화 과정을 거쳤다. 망치 손잡이처럼 ... ...
조기 진단 어려운 희귀질환… 치료 늦어지면 장애로 이어져
동아일보
l
2015.08.19
이런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다발성경화증 같은 희귀질환에 대한 정부의 급여평가에
유연
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가 보험급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의료인의 의견을 수렴해 보다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수연 기자 sy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이용해 가시광선 흡수율을 높인 차세대 광소재를 만들었다고 18일 밝혔다. 이황화물질은
유연
하고 가볍기 때문에 종이처럼 얇고 휘어지는 광센서나 광전지 등에 쓰이는 차세대 소재다. 연구팀은 ‘밴드갭’이라는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가시광선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는 광소재를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데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과 함께 센서를 인체에 부착할 수 있는
유연
한 상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 기존 센서들은 움직임의 방향까지는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신축성이 있는 기판 위에 전도성을 가진 은나노와이어를 전사하는 ... ...
적혈구보다 작은 전자회로, 3D프린터로 인쇄
2015.06.23
고온에서 진행 돼 고온에 취약한 플라스틱은 기판으로 쓸 수 없었지만 이번 연구로
유연
한 플라스틱 기판에 회로를 인쇄할 수 있어 피부에 붙이는 웨어러블 전자회로 제작이 가능해졌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3D프린팅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 연구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