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뉴스
"
완전
"(으)로 총 1,2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위성을
완전
하게 만들 수 있게 됐지요.” * 주경 : 반사망원경에서 빛을 먼저 모으고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가장 큰 반사경. 주경의 지름이 클수록 빛을 더 많이 모으고, 천체를 더욱 자세히 분간할 수 있다. 2021년부터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친구에게 과학동아를 선물해도 좋아요~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3-2014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주위에서 접하는 각종 속설, 소문 등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지 까칠한 시선으로 따져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 ...
[미래를 듣는다 3] “기술과 기업이 국민 행복의 1순위”
2015.03.25
텐데 하는 아쉬움으로 이를 연구 주제로 택했습니다.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성공시켜
완전
한 성공으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많이 먹으면 살찐다는 건 알아 두시고요.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3-2014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주위에서 접하는 각종 속설, 소문 등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지 까칠한 시선으로 따져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 ...
5억 년 전 바다 생명체 복원, 새우가 ‘길이 2m’ 대박
동아닷컴
l
2015.03.13
반 로이 예일대 고생물학자는 “
완전
하게 펼치면 길이가 약 1.6m까지 이른다”며 “불
완전
한 부분을 채운다면 그 길이는 2m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5억 년 전 바다 생명체 복원 연구결과는 네이처지에 실렸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팀 http://blog.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세계 암호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
2015.03.13
2011년 매사추세츠공대(MIT)는
완전
동형암호를 10대 미래기술 중 하나로 뽑았다. 그는
완전
동형암호를 활용해 암호를 풀지 않고도 DNA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 연구원은 “MS 측과 암호가 걸린 DNA를 분석해 특정 질병의 발병 가능성까지 예측하는 기술 개발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두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강력한 무기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 보편중력 법칙은 하늘은 완벽하고 땅은 불
완전
하다는 오래된 믿음을 깨뜨렸다. 우주의 태양이든 땅위의 사과든 모든 물질은 물리법칙 아래 평등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람들은 더 이상 철학과 신학에 얽매이지 않고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깨진 형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우리 얼굴은 좌우 대칭 형태로 생겼는데, 실제로는
완전
히 좌우가 똑같은 게 아니라 약간 대칭성이 깨져 있다(그러나 그 대칭성이 존재한다 는 것 역시 쉽게 알 수 있다). 입자물리학의 상호작용 중에도 약한 핵력은 힉스 입자가 관계하는 힉스 메커니즘에 의해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주어진 공리와 정리만으로 일관성 있게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괴델은 이런 불
완전
성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괴델 수 대응’이라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어떤 문자나 단어, 문장도 자연수와 일대일 대응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십진수인 자연수는 이진수로 표현이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아직 모르는 것이 있어서다. 1952년 데이비드 봄은 숨은 변수를 이용해 양자역학과
완전
히 동일한 결과를 주는 고전역학적 이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얽힘을 제대로 나타내기 위해서 이 숨은 변수는 빛보다 빠른 정보전달을 허용해야 했다. 즉 비국소적 숨은 변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봄의 이론은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