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보
뉴스
비평
보도
논설
내용
기술
뉴스
"
기사
"(으)로 총 6,50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1심 무죄… 피해자들 “내 몸이 증거인데” 반발
동아일보
l
2021.01.13
정환진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장이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습기살균제 사고 등의 재발 방지와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 ... 참석 제안에 분개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
기사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9세~49세 성인도 3분기 백신 맞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앞서 중앙일보는 이달 11일자 조간 '건강한 19~49세 성인남녀는 11월 이후 백신 맞는다'는
기사
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다음달부터 전 국민 무료접종” 계획을 밝혔지만 19~49세 성인들은 11월 이후에나 접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
"코로나19 사투 1년…정부 임시방편에 현장인력 소진 심각"
연합뉴스
l
2021.01.12
형태이기 때문에 전담병원들이 적자 해소에 집행할 가능성이 있고 간호보조인력·의료
기사
·방역인력 등 다양한 보건의료노동자가 제외돼 기관 내 갈등만 확산시킬 것"이라며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인력 이탈을 막기 위해 제한적인 수가 인상의 방식 말고 전담병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2000만 명이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는 전체 사망자 5000만 명의 40%에 해당하는 숫자다. 과거
기사
에서 스페인 독감을 언급할 때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유행한 사실만 다뤄온 필자로서는 팬데믹의 실상을 재인식하는 계기였다. 인도처럼 인구밀도가 높고 의료기반이 부실한 나라가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 ...
[바로잡습니다]호주·뉴질랜드·대만이 코로나 백신 확보하고도 접종하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보도는 물론 다른 모든 보도에서 수치를 엄밀하게 쓰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관련
기사
호주·뉴질랜드·대만이 코로나 백신 확보하고도 접종하지 않는 이유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3055 ... ...
[프리미엄 리포트]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
과학동아
l
2021.01.09
지난해 7월 인터넷에서 사람과 인공지능(AI)의 논쟁이 벌어졌다. 주인공은 데이빗 샬머스 미국 뉴욕대 철학과 교수와 여러 언론에서 ‘ ... 모델의 강점을 모두 결합한 최적의 모델이 개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 과학동아 2021년 1월,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 ...
[주말N수학] 방역 정책 효과 극대화하는 '게임 이론'
수학동아
l
2021.01.09
데는 모두가 하고 있다는 동조 심리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 수학동아 2021년 1월호,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 ...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
과학동아
l
2021.01.09
저탄소 제품을 제공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 이어지는
기사
를 보려면? [과학동아 2021년 1월호] 위기까지 남은 온도 0. 4℃...신 기후체제 Intro. 따뜻한 지구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Part 1.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 ┖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청주동물원의 불청객 붉은여우 구출작전
2021.01.09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관련
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월 1일자 발행,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 ...
'광섬유의 아버지' 나린더 싱 카파니 향년 94세로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8
카파니다. 카파니는 1960년 미국 대중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투고한
기사
에서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업적을 바탕으로 카파니는 ‘광섬유의 아버지’라는 이름을 얻었다. 다만 홉킨스 교수와는 1954년 논문을 발표한 직후 갈라섰다. 홉킨스 교수는 카파니가 공헌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