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81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러도 대답없는 의대생·전공의…올해보다 힘든 내년 준비하는 상급종합병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그러면서도 "하지만 실제 의료현장에 어떤 혼란이 올지는 겪어봐야 할 것으로 주변
교수
들은 올해보다 더 힘든 내년을 걱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의료환경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되면서 상급종합병원들은 당분간 변화보다 안정 기조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최근 박승일 ... ...
'흑백요리사' 열풍으로 재조명된 미슐랭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30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맛과 싫어하는 맛이 무엇인지 분석해 식품에 반영합니다. 정서진
교수
는 “음식을 먹을 때 어떤 맛이 느껴지는지 깊이 생각해보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환경을 생각해도 별을 받는다?! ● 그린 스타를 받으려면? 2020년부터 미쉐린 가이드는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전에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연구를 이끈 오머 고큐멘 버팔로대
교수
는 "유전체의 초기 복제는 아밀레이스 생산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했다"며 "이로 인해 인간이 새로운 기술과 생활방식의 등장으로 급증한 전분 소비에 적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잦아진 대형 산불, 생물다양성에 악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1.30
1000만 헥타르(ha)가 넘는 면적을 불태웠다. 돈 드리스콜 호주 디킨대 생명환경과학부
교수
팀은 호주의 대형 산불이 지역 생물다양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13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지난 40년간 발생한 산불 횟수였다. 생물다양성은 생물 종과 ... ...
[사이언스영상] 1초도 안돼 익는 '나노스파게티' 어디에 쓸까
SEIZE
l
2024.11.30
먹기 위해 나노 스파게티를 만든 건 아니다. 이번 논문을 쓴 가레스 윌리엄스 UCL
교수
는 "안타깝게도 파스타로는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팬에서 1초도 안 돼 너무 익어버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신 전분으로 만든 나노섬유는 상처 치유용 붕대에 활용될 수 있다. 전분으로 만든 ... ...
[과기원NOW] DGIST 직원창업기업 엠에프알, 스마트건설 주요 대회 석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직원창업기업 엠에프알이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 ... 있게 연구를 진행한 학생 연구원의 의지에 감사하며, 훌륭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동료
교수
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 ...
"위기(?)의 삼성, 문제 알고 해결 능력도 있어…인재 운용 들여다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않는다"고 밝혔다. 김지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김지현
교수
제공 다음은 김
교수
와의 일문일답. Q. 반도체 인력 유출과 지역 불균형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개발을 주도해야 하는 핵심 파트 경력 엔지니어가 경쟁사나 지원부서로 이동하면 기술 개발 속도와 연속성이 저해된다. ... ...
과기한림원 11대 원장에 정진호 서울대 명예
교수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과기정통부 국민생활과학자문단장 등을 맡으며 사회에서 전문가 역할을 수행했다. 정
교수
는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미래전략 제시, 국제적 리더십 확보, 사회적 책임 수행 등 한림원 본연의 임무를 다하겠다"며 "과학기술 석학들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을 ... ...
영동에 내리는 눈 특성이 수도권 폭설로…"통상 겨울 특성과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0.9m/s지만 습설은 1.2m/s이다. 속도가 빠른 습설이 한번 내리면 빠르게 쌓인다. 김
교수
는 "지난 10년간 한반도 강설의 눈에 띄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지만 이번 수도권 폭설처럼 지형, 기압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새로운 양상의 눈이 언제든 내릴 수 있다"면서 "눈 예보를 정확하게 하기 점점 ... ...
인류 조상 두 호미닌 종, 아프리카서 서로를 알아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두 호미닌이 서로를 알아봤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케빈 하탈라 미국 피츠버그 채텀대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 케냐의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뒤엉킨 형태로 발견된 원시 인류의 발자국을 분석한 결과 이 발자국들의 주인을 종이 다른 호미닌인 호모 에렉투스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