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려움
전율
선언
포고
성명
불안
horror
뉴스
"
공포
"(으)로 총 1,2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무서운
공포
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성적으로 막을 내려야 했다. 시대를 풍미했던 호러퀸과, 아쉽게도 흥행에 실패했던
공포
영화 여주인공들의 목소리를 분석해봤다. 분석 결과, 호러퀸들의 평균적인 고음 세기는 73.636dB이었고 흥행에 실패한 여배우들의 평균은 60.761dB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고음에서 음성에 실리는 힘의 세기가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확인했다. 편도핵에서 CGRP 수용체를 가진 신경세포를 억제했을 때는 통증을 가해도
공포
기억이 저장되지 않는 반면 이 세포를 활성화시키면 정상 상황에서도 두려움을 나타냈다. 한 연구원은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감정 변화를 유발하는 통증 경로를 밝힌 것”이라며 “만성 편두통과 ... ...
과거 떠오르게 하는 ‘마들렌’ 같은 영화
2015.07.19
쏠리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 보이며 우리를
공포
에 떨게하던 티렉스는 어느덧 22살을 더 먹은 할머니 공룡이 됐다. - 동아일보DB 제공 현재의 영화 쥬라기 월드는 추억의 영화 쥬라기 공원만큼 강렬하진 않았다. 티렉스가 으르렁거리는 소리에 두 눈 질끈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관여하는 부위”라면서 “편도체가 날카로운 소리에 더 민감한 만큼 비명을 들으면 즉시
공포
심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이석필 상명대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비명처럼 고음에 소리의 세기가 강한 경우 음파의 파장이 짧다”면서 “짧은 파장의 소리는 주변에 더 잘 전파된다”고 ... ...
[Health&Beauty]7000개 희귀질환 중 5%만 치료제 존재
동아일보
l
2015.07.08
1950년대 일본 지역에서 특이한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는 환자들이 나오면서 열도가
공포
에 휩싸였다. 원인모를 풍토병으로 여겨지던 ‘스몬병’이 바로 그 것. 10년이 넘는 동안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자 이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가 일본에서 진행됐다. 연구자들은 스몬병이 당시 지사제로 ... ...
“제2의 메르스 막으려면 ‘감염병 전쟁’ 수준의 대처 필요”
2015.07.01
때 보건 당국이 차분하게 체계적으로 대응하면서 국민이 지금과 같은 불안감이나
공포
심을 느끼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보건 당국의 대응이 미숙했다는 것이다. 이혁민 가톨릭관동의대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바이러스 검사는 특별히 어려운 게 아니고 시약만 준비돼 있으면 가능하다”면서 ... ...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떨게 한 메르스 바이러스는 소강 국면에 들어섰지만 메르스 바이러스가 불러 일으킨
공포
감은 여전히 남아있다. ‘바이러스 대습격’의 저자 앤드루 니키포룩은 바이러스를 ‘생물학적 침입자’라고 표현한다. 저자는 조류독감부터 구제역까지 지난 20년간 발병했던 600종의 가축 질병 사례를 ... ...
“감염 두렵지만… 환자 못살릴까 더 두렵다”
동아일보
l
2015.06.18
감염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방역복을 입고도 메르스에 걸리는 사례가 나오면서 감염의
공포
가 의료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은 ‘메르스 전쟁’의 최전선이다. ‘국가 지정 메르스 치료병원’인 이 병원에는 17일 현재 메르스 환자 10명이 입원해 있다. 이 병원 김연재 ... ...
‘메르스 낙관’ 모두 빗나갔다
동아일보
l
2015.06.16
우린 몰라요” - 부산 3개區 학교-유치원 45곳 첫 휴업 돌입 - 메르스 4주째… 한쪽선 ‘
공포
마케팅’ 한쪽선 ‘공갈 스미싱’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美 과학자들이 뽑은 진정한 과학자가 되는 제1 덕목
2015.06.14
네이선 울프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바이러스 폭풍의 시대’에서 우리가 바이러스에
공포
를 느끼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는 가장 큰 이유로 바이러스에 대해 아직 잘 모른다는 점을 꼽았다. 실제로 지금 유행하는 메르스 바이러스만 하더라도 불과 3년 전인 2012년 처음 발견 돼 아직 연구가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