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심
두려움
무기력
소동
비겁
불실
변절
뉴스
"
겁
"(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아마노 히로시 일본 나고야대 교수를 e메일 인터뷰했다. “빛 기술은 점점 더 중요해질
겁
니다. 통신, 정보 처리와 같은 친숙한 영역뿐 아니라 에너지, 의학과 같은 새로운 차원에서 빛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마노 교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중단된 이후 에너지를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가지 질문을 던져봤다. ● 이번 인양 진짜 어려운가 “세월호 TF는 5개월 동안 뭐한
겁
니까? 괜히 시간 끄는 거 아니에요?” 5월 29일 세종시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 인양용역’ 사업설명회장은 시끌시끌했다. 정부가 세월호 사고 진상 규명을 가로막으려 인양을 미적거린다는 ... ...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6.23
하지만 실제로 영혼이 있고 환생이라는 과정을 거친다면 분명 어떤 법칙에 따를
겁
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누누이 이야기했듯이 영혼이 존재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TV에 나오는 전생 체험은 순전히 ‘쇼’일 ... ...
서울시 “삼성병원 비정규직 2944명 전수 조사”
동아일보
l
2015.06.15
별다른 교육이나 조사는 없었다”면서 “침 가래 등 환자 체액을 매일 치우면서 솔직히
겁
이 난다”고 말했다. 신분 보장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비정규직의 특성상 자가 격리 대상자에 해당돼도 자진신고를 꺼릴 가능성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37번 환자가 비정규직이고 워낙 고용이 불안정한 ... ...
과학 저널리즘이 살아남는 법은?
2015.06.12
교수가 마지막으로 강조한 것은 저널리즘의 가치를 저널리스트가 독점해서는 안 된다는
겁
니다. 과학 분야로 친다면 과학자나 교사 또는 각계의 전문가들이 함께 저널리즘의 가치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저널리즘이지 저널리스트가 아니다”는 말이 아직도 아프게 ... ...
기침 환자는 차분한데… 건강한 사람이 더 불안에 떨어
동아일보
l
2015.06.11
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종식 때까지 우리 가족은 집을 제외한 건물 안에는 안 들어갈
겁
니다.” 서울 송파구에서 4세 아들과 2세 딸을 키우는 윤모 씨는 메르스 공포가 확산되면서 최근자녀들을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있다. 의심환자 1명이 집 주변 쇼핑몰에서 식사를 했다는 사실을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지진 보도 위해 균열난 도로 위를 1시간 걸었다”
2015.06.09
담담한 어조로 전했다. 그는 지진 발생 당일 집에서 출근 준비 중이었다. 진동에
겁
을 먹은 딸을 달랜 뒤 잠잠해진 틈에 밖으로 나와 보니 상황은 참담했다. 도로 대부분이 균열이 발생해 있었고, 멀쩡한 건물이 없었다. 인터넷과 통신이 모두 두절돼 정확한 상황을 알 수도 없었다. 기자의 본분을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연구조작 방지, 꼼꼼한 해외 규정
2015.06.01
일본의 줄기세포 논문 조작 스캔들은 연구노트만 제때 점검했어도 막을 수 있었을
겁
니다. 연구조사위원회가 연구노트를 꼼꼼히 조사하면서 데이터 조작 등 연구 부정이 드러났으니까요.” 김유수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주임연구원은 31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晴子)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타이틀로 기네스북에 올라간 종이다. 순해 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이들은
겁
이 무척 많은데, 이런 성격 탓에 도망을 칠 때 뒤도 안 돌아보고 죽을 힘을 다해 달린다. 측정된 이들의 질주 속도는 시속 약 35km로, 몸집이 훨씬 큰 육상선수 우사인 볼트의 단거리 질주 속도(시속 38 km)와 맞먹는 스피드다. ... ...
[미래를 듣는다 11] “‘하이리스크-하이리턴(고위험 고수익)’ 연구에 도전해야”
2015.05.26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자들 역량을 집중하면 기술 격차를 차츰 줄여나갈 수 있을
겁
니다. 하지만 단순히 격차를 줄이는 노력은 결국 기술 선도국을 쫓아가는 데 그치는 한계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결국 시장성 있고 앞서갈 수 있는 기술을 발굴할 수 있는 고위험 혁신적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