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울산과학고등학교가 수학 즐기는 비법! 내고, 모으고, 풀고, 즐기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울산과학고만의 ‘폴리매스 프로젝트’다. 문제는 선생님들이 찾아 게시하거나 학술동아리 ‘익스포넨셜(exponential)’의 학생들이 직접 만든다. 수학 문제 만들기는 울산과학고에서 늘 하는 일이다. 학생 모두 직접 문제를 만들어 와서 수업 시간에 서로의 문제를 함께 풀어본다. 그러면서 문제의 ...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7호
- NRAO)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10년 동안 제트 현상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이 현상은 ‘Arp 299’로 알려진 서로 충돌하는 두 은하 중 하나에서 관측됐다. 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의 2000만 배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다. 이 블랙홀이 ... ...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해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제작했다. 이후 이 ...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갇힌 개구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발견된 호박 속에서 약 1억 년 전 열대림에 살았던 멸종 개구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호박 안에 갇힌 개구리는 9800만 년 전 열대림에서 서식했던 종(Electrorana limoae)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딱정벌레와 함께 갇혀 있다. 두개골, 앞다리, 척추, 뒷다리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나무, 풀 등 재생 가능한 재료로 부타디엔을 합성하는데 성공해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지속 가능한 화학 및 공학(sustainable chemistry and engineering)’ 2017년 4월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suschemeng.7b00745연구팀은 식물에서 자일로스(xylose) 등 5탄당을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선택을 이용해 전세계 12개 실험실에서 벨 부등식 실험을 수행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네이처’ 5월 9일자에 실렸는데, 결론은 인간의 자유의지로 선택된 세팅을 사용할 경우에도 벨 부등식이 위배된다는 것이다. doi:10.1038/s41586-018-0085-3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양자역학을 공격한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약 2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WASP-107b’의 대기에 헬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WASP-107b가 주인별(host star)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동안 행성의 상층 대기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해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팀은 혈액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펩타이드 약물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형태로, 펩타이드 치료제는 소량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차세대 약물로 꼽힌다. 단백질과 구조가 유사해 거부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팀은 포항지진의 진원이 6.2km보다 더 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고 5월 21일 현재 학술지에 투고 중이다. 이는 진원의 위치가 지열발전소의 주입정과 생산정 인근인 지하 4.3km 안팎이라는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의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주장이다. 홍 교수는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아 ...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태양이 행성상 성운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수학적 모델로 증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5월 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학 모델을 이용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태양이 가스를 방출하는 속도가 기존 모델로 예측한 값보다 약 3배 빨랐다. 이는 태양처럼 질량이 작은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