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해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제작했다. 이후 이 ... ...
- [과학뉴스] 50km 떨어진 지역 강수량 예보 적중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고안해 일기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미주리대 측은 “이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수문학저널’ 2월호에 실렸다고” 6월 11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일기예보는 레이더로 빗방울과 비구름의 양을 포착해 날씨와 강수량을 예측했다. 하지만 빗방울이 형성된 후 빗방울이 증발하는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월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논문으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계산기하학국제심포지엄에서 문제의 답을 발표했습니다. 아직 학술지에 실린 건 아니지만 이쪽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에서 발표한 겁니다. 배상원 경기대학교 교수와 오트프리트 정(정지원) KAIST 교수, 정 교수의 석사과정생인 최윤성 학생, 삼성디스플레이 소속 윤상덕 박사,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벨 실2018험은 1999~2010년 데이터를 받아 현재 분석 연구를 진행 중이다. 작년 한해에만 국제학술지에 20편이 넘는 논문을 실었다. 벨 연구팀 인구의 20분의 1을 차지하는 한국 그룹(약 20명)이 논문의 10%를 내고 있다. 벨 실험의 주요 목표는 B중간자(B Meson)를 만들어 CP 대칭성 깨짐 현상을 연구하는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선택을 이용해 전세계 12개 실험실에서 벨 부등식 실험을 수행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네이처’ 5월 9일자에 실렸는데, 결론은 인간의 자유의지로 선택된 세팅을 사용할 경우에도 벨 부등식이 위배된다는 것이다. doi:10.1038/s41586-018-0085-3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양자역학을 공격한 ... ...
- [과학뉴스] 조로증 치료 길, 드디어 열리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억제하자 체중 감소 속도가 21%가량 늦춰졌고, 심박수 감소도 완화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doi:10.1038/s41467-018-03770- ... ...
- [과학뉴스]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배터리 없이 작동하는 ‘스마트 장난감’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ACS 지속가능 화학 및 공학(ACS Sustainable Chemistry&Engineering)’ 4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장난감은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낸다. 연구팀은 고무로 만든 장난감에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팀은 월계화(Rosa chinensis)의 게놈(유전체)을 해독해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8-018-0110-3 월계화는 중국이 원산지인 장미의 일종으로 ‘중국 장미’로도 불린다. 국제 무역을 통해 18세기 유럽에 소개됐으며, 장미 중 전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약 2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WASP-107b’의 대기에 헬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WASP-107b가 주인별(host star)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동안 행성의 상층 대기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해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