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1, 2, 3, 4일 때뿐이다. n이 5, 6, 7, 8일 때는 완전히 소인수분해됐다. 나머지 경우, 소인수의 일부만 알려져 있거나 합성수인 것은 확인 됐지만, 어떤 인수로 구성돼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심지어 아직 소수인지 합성수인지 알려지지 않은 경우는 더 많다. 2018년 현재, 298개의 페르마 수가 합성수라는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숫자로 나타낸 시작보드를 A, 도착보드를 B라고 합시다. 시작보드를 뒤집는 건 M1~M9 중 일부를 반복해서 더한다는 거예요. 행렬의 상수배를 이용하면 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시작보드를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 부패 정도를 관찰하고, 사진 촬영 후 현미경 검사를 위해 포르말린으로 고정했다. 일부 동물에서 가스로 인한 장 팽창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장기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패를 관찰하지는 못했다. 실종 직후 사망, 첫 확인 이렇게 모든 실험이 마무리됐다. 수사팀은 피해자의 ... ...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풀어내기 위해서다. 꽃잎 떨어지는 원리 첫 규명식물은 일정한 때가 되면 자신의 일부인 꽃잎이나 나뭇잎에 영양 공급을 끊고, 이들을 떨어뜨린다. 이를 ‘탈리(脫離)’ 현상이라고 부른다. 아름답게 만개한 꽃에서는 꽃잎이 떨어진 뒤에야 열매의 모습이 드러난다. 탈리 현상을 통해 인간은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말했다. 성균관대는 학부제를 채택하고 있어 의예과나 약학과,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등 일부 특수 학과를 제외하고는 전부 학부계열로 학생을 뽑고 있다. 서 씨가 학부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수업을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1년간 학과에 구애받지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봉사활동 운영지침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둬야 한다. 다만 봉사활동을 정량평가하는 일부 전형의 경우, 이런 교육청의 권장 시간에 따라 봉사시간에 배점을 하기도 하는 만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봉사활동 시간이 많다고 해서 합격 가능성이 높은 것은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추론하는 유전통계학 분석 방법. 연구를 이끈 아슬란 자이디는 “우리 연구는 일부 코 모양이 기후의 영향을 받았음을 뒷받침한다”며, “그러나 진화는 매우 복합적인 과정이므로 한 가지 이유로 코의 생김새가 결정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어요. 자이디의 말처럼, 이 결과 하나로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는 세포가 있고, 그들이 성체줄기세포라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성체줄기세포 중 일부가 쿨쿨 ‘잠을 자는(quiescent)’ 셈입니다. 두 가지 성체줄기세포 필요한 이유한편 성체줄기세포 중에는 잠을 자지 않고 근면하게(?) 세포분열을 하는 세포도 있습니다. 이런 세포들은 앞서 말한 것처럼 몸의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동아리로 보통 3월 중순에 편성이 끝납니다.정규동아리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의 일부로 1년 동안 운영되며, 변경이 안 됩니다. 여러 정규동아리 중에서 특히 과학동아리의 경우 실질적인 활동이 많아 학교 내에서 비교적 인기가 있는 편입니다. 따라서 학기 초에 본인이 관심 있는 과학동아리 2~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한국이었다. 전 세계 38개 연구팀, 항아리곰팡이 계보 추적199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