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2050 탄소제로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요즘 하루가 멀다고 듣는 말이죠? 그래서 오히려 위기가 느껴지지 않는 말이기도 합니다. 곧 다가올 미래지만, 해결법을 찾지 못해 애써 외면하고 있는 불편한 현실! 이런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2050 탄소제로시티’가 국립부산과학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으윽, 도대체 이게 무슨 냄새지?! 나 마이보의 냄새 센서에 과부하가 걸릴 정도로 고약한 냄새가 감지됐어. 범인은 바로 과일의 왕 두리안! 이 냄새나는 과일이 왜 왕으로 불리는지 궁금하다면 내가 준비한 과학 영상에서 함께 알아보자. 동아사이언스의 새로운 과학 채널도 놓치지 말라고!●조회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한복 입자, 설날이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오하~! 제페토가 재미있는 건, 크리스마스나 설날, 추석처럼 현실에서의 빅 이벤트를 메타버스에서도 함께 즐기고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2022년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하자, 많은 언론은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에 집중했다. 허명회 교수도 수학을 기본으로 하는 통계학 분야의 권위자인데다 40년 넘게 후학을 양성해 온 존경받는 교육자이기 때문이다. ... ...
- 수학 상위 1%의 가방 속 잇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학 상위 1%의 가방 속 잇템 KAIST 도서관 물병끊임없이 물을 마셔 물통은 필수다. 커피향이 나고, 언제든지 물을 마실 수 있고,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서 가장 공부가 잘되는 편. 라미 사파리 만년필중세의 기사가 자신만의 검을 갖고 다니듯, 공부하는 사람은 자신만의 필기도구가 있어야 ...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실험실에서 만든 적혈구를 사람에게 수혈하는 최초의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성공적으로 시험을 마치고 적혈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면 주기적으로 수혈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HR)은 케임브리지대, 브리스톨대 등 공동연구팀이 줄기세포를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023년, 인공지능(AI)은 이미 우리 삶 속에 들어왔다. 화선지 위에 떨어진 먹물이 번지듯 분명하며, 돌이킬 수 없다. 사람들의 반응은 복합적이다. 장상훈 씨(28세울산광역시)는 현재 대학에서 자율주행 자동차를 연구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론 자율주행 자동차가 도입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서양 북극 어귀에 있는 덴마크의 거대한 섬, 그린란드. 이곳에서도 북위 80°가 넘는 최북단의 피오르 어귀에는 ‘카프 쾨벤하운 층(kap københavn formation)’이 쌓여있다. 극지 사막으로 생명의 흔적조차 찾기 힘든 이곳의 과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최근, 커트 키에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팀은 카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의혹1. 피사의 사탑 실험으로 반대자들을 반박했다? 갈릴레이는 과학자 중에서도 유독 일화가 많다. 종교재판정을 나서면서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읊조리고, 피사의 사탑 실험으로 자신의 이론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했다. 끝까지 신념을 버리지 않는 과학자, 간단한 실험으로 반대자들 ... ...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순에너지 획득으로 인류는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에 한 발짝 다가섰다. 앞으로 상용화까지 몇 발짝을 더 나가야 하고, 그 걸음에 우리가 넘어야 하는 산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전 세계 공통의 목표인 ‘탄소중립 2050’에 맞춰 핵융합 에너지가 대전환을 이끌 수 있는지, 상용화까지 남은 시간도 가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