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민수
사람수
인원수
머릿수
전국인구
전국
d라이브러리
"
인구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은 도처에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불러올 수 있는데, 특히 도시 지역에서 더욱 그러하다. 지난 4천년 동안 지진으로 사망한
인구
는 1천3백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과학자들은 지진이 주기적 패턴을 띠고 발생한다는 가설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오랫동안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 큰 지진이 발생할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변화는 바람의 방향과 해류의 방향을 바꿔 문명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한편으로는
인구
압(人口壓)이 커지게 되고 식량 부족현상이 있을 것이다. 반대로 수중인간들은 육상과 해면의 이러한 변화를 알지 못하고 풍부한 식량으로 번성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처음으로 겪어보는 우주지구적인 변화에 ... ...
(3) 극한 상황 적응, 새로운 진화 시작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운반한다. 이 한천막은 산소를 투과시키지만 해수는 새지 않는다.수중인간들은 수중에
인구
압이 늘어나 할 수 없이 육상의 먼 곳까지 먹을 것을 채집하러 나오게 되는데, 음식물 구별을 위해 색깔감각이 발달한다. 그러나 육상의 저기압에 적응하지 못해 높은 지점까지는 진출하지 못한다.이때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여러가지 장애가 있다.육상의 평지에서는 많은 기상자료들을 얻을 수 있으나 고산지대와
인구
희박지역, 넓은 해양, 대기수직층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적다. 또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온실기체 오염물질 오존층파괴 등이 대기에 물리 화학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명백히 규명이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그 자체에 있다. 즉 미래의 기후변화가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든지와 무관하게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비례한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는 식물을 ${CO}_{2}$가 풍부한 환경 속에 살게 만들 것이다. 대기중의 ${CO}_{2}$ 증가는 토양 속에 충분한 수분과 영양소가 존재할 때 물의 이용효율을 높여 식물의 광합성 ... ...
확률은 도박에서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상태를 조사하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statistic이라고 했다. 주로 정치 행정의 필요상
인구
종교 산업정책의 숫자적인 자료를 수집했다.기원 전 2500년경 이집트에서 세계 최대의 피라미드를 건설했을 때 10만의 인원이 동원돼 20년 가까이 작업을 했다. 또 진시황이 만리장성을 쌓을 때도 석재 나무 ... ...
화학 - 물질구성 입자단위 1몰 6×${10}^{23}$의 의미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흔히 취급하는 물건의 개수를 세듯이 원자나 분자수를 센다면 1몰을 세는데 50억의
인구
가 모두 1분에 1백개씩 하루에 8시간을 꼬박 센다고 해도 약 7백만년이 걸려야 모두 셀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숫자다.우주는 엄청나게 크고 무한하다. 또한 미시적인 원자의 세계도 무한하다. 그런데 이 엄청나게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캐나다에서 처음 태어난 GIS는 60년대 들어 농촌지역에서 도시로
인구
이동이 극심해짐에 따라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이나 도시지역의 토지관리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전국적으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겠다는 발상에서 캐나다정부는 '농촌 및 도시지역 개발법(Agricultural ... ...
숫자 0이 인류문명 바꿨다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새끼를 꼬아 만든 매듭으로서 수를 나타냈다." 매듭은 영어로 카프(quipu)이다. 옛날에는
인구
나 가축의 수 등을 매듭으로 표시했다. 남미의 잉카에서도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매듭으로 수를 표시하는 방법이 통용되었다(그림1). 매듭은 숫자 사용의 시작이었을 것이다. 새끼가 흔하지 않은 곳에서는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수용해 생활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또 고지식한 좌뇌형
인구
가 무식한 우뇌형
인구
보다 적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해도 좋을 것이다.우뇌의 지도층과 좌뇌의 대중으로 구성된 사회를이상적인 안정된 사회란 소수의 우뇌형 지도층(창의적 종합적인 사고의 소유자)에 다수의 좌뇌형 대중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