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저지층, 해양 동식물 샘플 보관에서 대여까지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전망이다. 임 박사는 “학생들이 직접 해양시료를 분석하고 연구보고서를 쓰는 교육실험실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시료도서관이 21세기 한국 해양연구의 ‘규장각’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해양2만리 과학3만리’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 ...
- 날아라! 디스커버리호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어요. 7명의 우주인이 탑승한 디스커버리호에는 일본의 우주과학실험실‘키보’와, 국제우주정거장의 고장 난 변기를 고칠 수 있는 부품도 함께 실렸지요.성공적으로 발사된 디스커버리호는 이틀 동안 우주를 날아가, 6월 2일 국제우주정거장에 무사히 도킹했어요. 그리고 6월 ...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과학동아 l2008년 11호
- GFP 유전자를 클로닝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는 더 이상 연구비를 받지 못해 실험실 문을 닫았다. 물론 그가 아니라도 누군가 GFP 유전자를 클로닝했을 수 있지만, 그가 찰피 교수와 첸 교수에게 GFP 클론을 보내주지 않았다면 이들이 노벨상을 탈 수 있었을까?프레이서 박사는 그 후에도 ...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예정된 MSL 발사에 주력하고 있음을 암시했다.2010년 화성에 도착할 MSL은 래보러토리(실험실)라는 이름에 걸맞게 커다란 덩치를 지녔다. 무게가 800kg으로 역대 화성 탐사 로봇 중 가장 큰 MSL은 기존 탐사 로봇보다 10배나 더 무거운 장비를 싣고 다니며 화성의 지질과 대기를 더욱 심도 있게 분석할 수 ...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과학동아 l2008년 11호
- 계속할 전망이다.국제 우주협력의 상징NASA는 1975~1976년에 지구궤도에 인간이 상주하는 실험실인 스카이랩을 운영한 뒤 1980년대 더 큰 규모의 우주정거장 ‘프리덤’을 세울 계획을 마련했다. 하지만 예산 문제가 불거지면서 자국의 두 번째 우주정거장 ‘미르2’를 짓고 있던 러시아와 손잡는 쪽으로 ...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온도를 5℃만 낮춰도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실험실을 나오니 이번엔 관능평가실이다. 주부 모니터 요원 15명이 독서실처럼 양 옆에 칸막이를 친 평가 테이블에 앉아 연구원이 가져다준 두부된장찌게의 맛을 평가하고 있다. “이 분들은 미각 테스트를 통과한, ...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뉴턴의 운동법칙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바닥과 마찰 없이 ‘제대로’ 할 수 있는 최고의 실험실이다.부채를 휘저어 날아다니며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설명했고, 쇠구슬을 넣은 투명 공을 흔들어 던져도 무게 중심은 직선 운동한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밖에 풍선 안에 든 공기의 압력으로 잉크를 밀어 ...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말했다. 20주년 맞아 제2의 도약 선포 대구과학고는 학년당 4학급 90여 명의 과학영재들이 실험실과 독서실, 기숙사를 오가며 공부와 씨름하고 있다.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은 약 6명이다. 대구과학고는 우수한 학생과 열정적인 교사들을 무기 삼아 과학올림피아드를 비롯해 각종 경시대회에서 괄목할 ...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따라 여행에 동행하면 공간과 시간의 의미, 현대 기하학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논리학 실험실후쿠자와 가즈요시 지음 | 김규한 옮김 | 바다출판사 | 207쪽 | 9500원‘미래의 과학자를 위한 맞춤 논리학 훈련서’임을 자임하는 책. 온갖 첨단 이론과 기술의 결과인 현대사회 속에서 살면서도 사람들이 ...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이름이 ‘우주-QUEST(Quantum Entanglement for Space Experiment)’다). 이를 위해서는 ISS에 있는 과학실험실인 콜럼버스 모듈에 광자 송수신기를 제작해서 달아야 한다. 현재 유럽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일본 등 15개국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관심이 있다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좋겠다.요즘 가장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