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도 있답니다.에너지드림센터의 블라인드는 모두 건물 밖에 설치돼 있어요. 더운 여름에는 유리창이 태양 빛을 받아 뜨거워지는 것을 막고, 겨울에는 최대한 많은 빛이 실내로 들어오도록 해요. 반사율이 높은 재질의 블라인드를 아래쪽과 위쪽의 각도가 다르게 만들었기 ...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출전한 미국 대표팀이 시차증을 극복하고자 호텔 방에 수면을 유도하는 전구를 설치해 화제가되기도 했다.미국 미시건대와 예일대 수학과 교수 합동 연구팀은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시차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최근 시차 적응을 도와 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선보였다.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건물, 비행기, 폭탄 등 모든 개체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즉 건물 안에 폭탄이 설치되면 터지고, 궁사가 몬스터를 향해 활을 쏘면 몬스터는 그 활을 맞고 쓰러진다. 이런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판단하는 것이 충돌검사다.재미있는 점은 컴퓨터상의 모든 개체에서 사람 또는 몬스터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설치한 후,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a$)를 잽니다. 그런 다음, 레벨측량기가 설치된 곳의 높이($b$)를 빼면 땅의 높이($h$)를 구할 수 있어요(그림❸)." 지금은 첨단 지도 시대!요즘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지도를 접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정확한 지도는 ... ...
- Part 2. 상상 속 건물을 마음대로 짓는 비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레필스(Plis/Replis)’는 미국과 프랑스의 미디어 아티스트들과 협업해 만들었는데, 현장설치 직전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모든 단계가 디지털 작업으로 되어 있었기에 가능했다. 파라메트릭 프로그램은 총 570개 패널들의 볼트 구멍과 이음새의 정확한 위치까지 자동으로 계산해줬다.더 ... ...
- 김주황의 악당예찬5 - 중력을 키우기 위해 지구를 꾹꾹 다지다 조드장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크립톤보다 중력 이 약하다. 이 때문에 조드는 뉴욕과 인도양 남쪽에 중 력 변환 장치를 설치해 지구의 중력을 바꾸려 한다.대한민국 첫 우주인 이소연 씨가 국제우주정거장에 서 얼굴이 퉁퉁 부은 채로 생활했던 것을 기억하는지. 평소 지구 중력에 익숙해 다리 쪽으로 몰리던 혈액이 상 체로 골고루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펴지면서 벽의 모양이 계속 바뀌었기 때문에 외곽 유리창은 20mm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했다.코어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대비책으로 포스트 텐션 공법도 동원했다. 주로 큰 다리처럼 한 쪽 방향만 큰 힘을 받을 때 쓰는 방법으로, 고층 건물에 적용한 건 처음이다. 원리는 고무줄이 헐렁할 때보다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라 불리는 ‘첨단 팽창형 로봇팔’을 개발해 폭탄제거 로봇인 ‘팩봇(PackBot)’에 설치했다. 고강도 섬유로 만든 에어암은 임무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강도로 바뀔 수 있다. 가령 사람에게 접근할 때는 공기를 빼서 푹신하게 만드는 것이다.이 외에도 몸 안에 색소를 공급해 카멜레온처럼 색깔을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폭발을 검출한 것이다. 같은 현상이 멀리 떨어진 강원도 양구 국토정중앙천문대에 설치된 천문조도계에서도 감지됐다. 그날 해는 저녁 6시 26분에 졌으며, 하늘은 오직 서쪽하늘에 걸친 상현달의 빛에 의존하던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순간적인 대기발광은 오직 그 시각에 1회 검출됐다.Q 운석은 ... ...
- 하늘을 나는 새를 사냥하는 ‘호랑이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제가 정말로 새를 사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제가 살고 있는 슈로다 댐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15일 동안 관찰했어요. 그러던 중 제가 물 위를 낮게 나는 새를 사냥하는 모습을 목격했답니다. 저는 날마다 새를 스무 마리 정도 사냥해요. 뛰어난 사냥꾼이라 자신할 만하지요? 과학자들이 분석한 저의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