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밀
은밀
극비
비공개
은닉
엄밀
신비
d라이브러리
"
비밀
"(으)로 총 3,834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파란색) 내에 Xist RNA(빨간색)가 비활성화 된 X염색체를 감싸고 있다.꽁꽁 묶인 X염색체의
비밀
염색체의 일부가 아닌 전체가, 마치 전등불이 꺼지듯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이런 현상은 지금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X염색체가 비활성화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관여하지만 특히 ... ...
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비밀
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비밀
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미국 공군이 운용 중인 무인 우주비행선 X-37B가 718일간의 우주비행을 마치고 5월 7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네디우주센터로 귀환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한 우주왕복선을 연상케 하는 이 우주비행선은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 ...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등 300여 종의 열대 과일들이 사랑의 결실을 맺도록 돕고 있단다. 전략 1 아무도 모르는
비밀
언어로 말해라!‘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선인장 ‘셀레니체레우스’와 높이가 11m인 대형 선인장 ‘파키체레우스’는 모두가 잠든 밤에 꽃을 피워요. 야행성인 박쥐를 기다리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밤에 ... ...
[수학뉴스] 색깔 마술사 도마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쥬얼드 라세타 도마뱀은 갈색 반점을 몸에 지니고 태어나요. 생후 5개월이 되면 서서히 검정색과 초록색이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최근 마이클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교수팀은 쥬얼드 라세타가 세포자동차 원리로 무늬를 만든다고 네이처 4월 12일자에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쥬얼드 라세타 ... ...
오선지에 숨은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수도 있겠지요. 진짜 음악가의 의도를 찾을 것일 수도 있지만요. 또 아직 찾아내지 못한
비밀
도 많이 있을 겁니다. 만약 지금까지 알려드린 악보 암호 만드는 법을 이해했다면 수학동아의 악보 퀴즈도 한번 맞혀보세요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치명적인 방사능 농도에서도 생존한다. 물곰이 이런 극한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비밀
이 일부 풀렸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생명과학연구소 토마스 부스비 박사팀은 물곰이 극저온에서 10년 이상 건조 상태를 유지해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 그룹을 찾아 학술지 ‘분자세포’ 3월 1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지 못한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이런 퇴행성 뇌질환의
비밀
을 풀 실마리를 찾아냈다.임정훈 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 있는 유전자인 ‘어택신-2(Ataxin-2)’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밝혀냈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