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새로운 원자를 만드는 반응이다. 핵융합 반응은 높은 에너지를 갖고 전자와 원자핵이
분리
된 플라스마 상태에서 일어난다. 두 원자가 가까워지며 생기는 반발력을 극복하고 두 원자핵이 충돌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핵융합 반응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스마 상태 원자핵의 거동을 이해하고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유지 과정에서 DNA는 계속해서 복제됩니다. DNA를 구성하는 매우 많은 수의 염기들을
분리
하고 복제하는 과정은 기계못지 않게 정밀합니다. 이를 통해 한 개체의 유전적 구조가 일생 동 안 유지되고, 한 종의 형질도 많은 세대를 거치는 동안 대체로 일정하게 유전됩니다. 이를 위해 DNA는 매우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회전감각과 막전위의 관계, 중추에서의 시각 성립 과정, 그리고 생식세포의 비
분리
에 따른 염색체 돌연 변이 문제를 눈여겨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응용문제가 새롭게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개념을 활용하는 유형으로서, 관련 개념을 적절히 활용해 자료를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법은 크게 네 가지다.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가 했듯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해
분리
하는 방법은 여전히 많이 쓰인다. 다음으로 필자가 있는 성균관대의 홍병희, 안종현 교수팀이 2009년 개발한 화학증착법(CVD)이 있다. 실리콘 기판에 니켈을 증기 형태로 뿜어 입힌 뒤 1000℃의 고온에서 메탄과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태계에서 탄소의 순환 탄소는 주로 석회석과 같은 퇴적암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생태계에서는 대기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와 화석연료가 중요하게 여 ... CO2를 유리시키고 빛을 이용해 광합성한다. 즉 CAM식물은 이산화탄소 고정과 광합성의 시간을
분리
해 수분 손실에 저항한다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알 수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다. 별에 가까이 공전하는 행성은
분리
해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직접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별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공전하는 행성을 주로 찾는다. 반대로 시선속도 측정법이나 행성횡단에 의한 별빛가림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별에 가까이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조국’2010년도 노벨 물리학상은 2004년 2차원 탄소박막 구조인 ‘그래핀’을 완벽하게
분리
해 낸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학과의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두 교수와 함께 그래핀 연구에 중요한 공로를 한 한국 출신의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짝을 찾아 결합하기를 바랄 뿐이다. 반응이 끝난 뒤 화학자들은 제대로 결합한 구조만을
분리
해 낸 뒤 그 다음 반응으로 넘어간다. 이런 일이 수십 회 반복되면서 항암제인 탁솔 같은 복잡한 유기분자가 만들어지는 것이다.망치와 삽, 톱 같은 도구의 발명이 집짓기를 훨씬 쉽게 했듯이 원하는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들어 있어요. 특히 과육보다는 껍질에 많이 들어 있답니다. 만약 껍질이 얇아 과육과
분리
되지 않고, 씨가 없다면 포도 알을 통째로 먹어 레스베라트롤을 최대로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이미 2008년에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타노 레드’ 품종과 씨가 없는 ‘루비 씨드레스’를 교배했고, 약 5년 뒤에는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물질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
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탄생한 분야인 광유전학을 적용했다.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쥐의 후각 기관에 합성한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쥐는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