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지퍼백 사이에 틈이 생겼지만, 물 입자가 서로 끌어당기기 때문이죠. 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과학 실험 영상이 있어요. 초등학교 3~6학년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실험을 볼 수 있지요. 아! 아꿈선은 ‘아이들에게 꿈을 선물하는 선생님들의 모임’의 줄임말이에요. 전국 60여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간이 다른 시간 왜곡이 일어난 것이다. 연구팀은 시간 왜곡이 일어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알아봤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오른쪽 하두정소엽의 모서리위이랑(SMG·supramarginal gyrus)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활성도가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20 사이언스 바캉스는 수 분만에 동시접속자 400명을 돌파할 만큼 뜨거운 열기 속에 100분간 진행됐다. 사이언스 바캉스에 올해로 3회째 참여한 김 교수는 “내년에는 과학동아 친구들과 얼굴을 마주보며 이야기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꽤어려워요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화학 분야의 연구자라면 누구나 소원하는 기술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에서 3차원으 ... 교수로서 나노 재료 실시간 분석 기법 개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개발, 3차원 재료 구조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jungwonpark@snu.ac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명령어를 이용해 수학 문제를 풀어봅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는 코드를 잘만 짜면 1분 이내에 답을 얻을 수 있으니, 직접 한번 실행해보세요! 실제로 친화수는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에 등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세상의 모든 것을 수로 따져 바라보던 박사는 주변 등장인물과 자신 ... ...
-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만화를 그리러 집으로 출근하는 셈이에요. 그림 그리는 걸 좋아해 힘들지 않아요. 여러분도 좋아하는 걸 찾아보세요! 물론, 찾지 못해도 괜찮아요.사실 어른들도,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이 되고 싶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답니다. 5분 만에 쏙쏙! 유튜브로 배우는 과학과학원리가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되는 이 영상을 흥미진진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지 뭐예요? 이 영상으로 여러분의 20분을 훔쳐 보겠습니다! 달고나 커피가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외국에서도 요즘 달고나 커피 만들기가 유행이래요. 달고나 커피의 영어 이름도 ‘Dalgona Coffee’더라고요. 달고나 커피의 종주국(?)답게 ...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힘으로 2주에 한 번 정도 베누에 부딪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돌조각이 떨어져 나온다는 분석이 나왔다. doi: 10.1029/2019JE006282윌리엄 보트케 SwRI 연구원은 “베누가 일본이 탐사한 소행성 류구와 비슷한 다공성 표면을 가졌을 경우, 관측된 돌조각의 양이 컴퓨터 모델로 계산한 값과 일치한다”며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경로, 랜드마크라는 ‘지식’을 외워야 하는 직업이다. 한 연구팀이 택시 기사들의 뇌를 분석한 결과 길을 찾는데 중요한 뇌 영역인 해마의 크기가 매우 크게 변했음을 확인했다. 택시 기사들의 후위해마(posterior hippocampi)는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수 밀리미터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는 실험을 진행했다. 노 수석연구원은 전동 킥보드 주행 영상을 촬영하고 동작분석시스템을 이용해 전복 가능성을 측정했다. 그리그 그 값을 다양한 이동수단 및 방법(자동차, 장애인 이동기기, 로봇, 자전거, 보행)과 비교했다. 결과는, 전동 킥보드가 압도적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