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축구를 수준별로 배우고 연습할 수 있는 곳이야.형, 여기 축구공이 있으니 어서 시합해 보자.잠깐! 축구를 하기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들이 있어.축구를 시작하기 전에 꼭 착용해야 하는 3가지축구를 하려면 먼저 알맞은 복장을 해야 해요. 경기 내내 쉴 새 없이 뛰어다니고, 상대 팀 선수로부터 ... ...
- 우가우가~ 함께 춤을 춰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군이 각각 일반부와 중·고등부에서 대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작을 지면에서 만나보자.※ 올해 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충청북도, 충북대가 주최하고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조직위, 국가지정 의과학연구정보센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주관했다. 또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동아사이언스, ...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도 있다. 물론 거북이 사냥에 실패할 수도 있다. 자기 삶은 각자 알아서 살 것.흘러가 보자그릇에 갇힌 물고기가 탈출구를 찾는 것 같다. 밖으로 나가는 흐름을 찾아 맴돌지만 결국은 제자리에 돌아올 뿐이다.난 애정이 많을 뿐, 싸움꾼이 아니에요어항에서 자주 기르는 구피처럼 생긴 물고기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능력이 생 각보다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가장 정직해 보이는 사람을 떠올려 보자. 그가 하는 행동이 모두 정 직하다고 철통같이 믿을 자신이 있을까. 실제로 2008년 영국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는 집단 지성을 이용해 이 사실을 확인해 봤다. 먼저 온라인으로 1000여 명의 얼굴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2.8분이나 됐다.한국에도 비슷한 연구가 있다. 2010년 대한응급학회지에 실린 연구 결과를 보자. 경기 성남 분당에서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수직 구조시간을 조사해 보니, 저층부 환자는 0.34분만에 구조에 성공한 반면, 고층부 환자는 평균 2분이 더 지나서야 구조가 가능했다. 2008년에도 50층 이상 ...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은 언제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먼저 인간의 얼굴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인간 얼굴에서 처음으로 눈에 띄는 특징은 맨 얼굴 즉 '민낯'이라는 점이다(콧수염과 턱수 염을 많이 기른 남성은 잠시 논외). 털이 사라지면서 얼굴이 드러났다. 인류 는 원래 얼굴과 몸 전체에 털이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지나갔다고 생각하는 나의 확신은 뭐란 말인가? 이제 여기에 나, 즉 관측자를 포함시켜보자. 관측자의 몸도 모두 원자로 구성돼 있으므로 양자역학의 지배를 받는다. 전자가 두 개의 구멍을 지날 때, 유니타리 진행을 고려하면 관측자까지 포함된 중첩상태가 형성된다. 전자가 오른쪽으로 가고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속 사과를 꺼내와야 한다. 주최자 마틴 가드너가 직접 만든 퍼즐을 풀고 캠프에 참여해 보자.퍼즐캠프 안내문축하합니다! 이 안내문은 퍼즐캠프 참가자에게만 발송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지금 이 안내문을 읽고 있는 여러분은 무사히 사과를 꺼내서 퍼즐캠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단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선을 말하고, ‘닫힌곡선’이라고도 불린다. 조르당 곡선정리를 보며 아래 미로를 살펴보자. 위 미로는 출발점과 도착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직선과 미로가 모두 9번 만난다. 즉, 정리 ❶에 따라 미로의 출발점과 도착점이 서로 다른 안과 밖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 미로는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