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베어내는 톱을 닮은 톱가오리(Pristiophorus japonicus). 기다란 주둥이 양끝에 여러 개의 이가
바깥
을 향해 톱날처럼 돋아 있다. 톱가오리는 톱날로 숭어나 청어를 잡거나 진흙을 파헤쳐 작은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잔인한 외모와 달리 톱가오리는 성질이 순한 편이라고 한다.페루와 볼리비아에 걸쳐 있는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육 장비 안이 너무 더워지면 사람이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알아서 바람개비가 돌아가
바깥
과 안쪽 공기가 순환되는 식이다. 사람은 사육 장비에 설치된 물통을 가끔 채워주기만 하면 된다. 각 가정에 들어간 사육 장비는 중앙 관리소와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어 고장이 나도 현지 주민은 손끝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산화알루미늄은 산화철과 달리 결정들 사이의 틈이 조밀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일단
바깥
쪽에 산화알루미늄이 생기고 나면 안쪽의 알루미늄은 산소로부터 보호를 받는다.따라서 산화알루미늄피막 덕분에 산소와 반응이 늦어진 알루미늄은 오히려 철보다 늦게 산화된다.베트남의 길거리를 걷다보면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속도를 내려다 보니 쇄빙 능력에 문제가 있었고, U자 형태로 만드니 깨진 얼음이 배
바깥
으로 신속히 떨어져 나가지를 않았습니다. 결국 수차례 설계를 변경하며 고심한 끝에 최종안을 만들었죠.”과학계에서는 아라온 호 덕분에 한국이 남극기지 운영 방식을 크게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는 다락방을 향해 상승해. 그리고 이 공기는 다락방에 연결된 통로를 타고 흘러
바깥
벽에 뚫린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가는 거야. 동시에 탑 아래쪽의 입구를 통해서는 차갑고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지. 이렇게 들어온 공기는 우리에게 산소를 공급해 줘. 어때? 아무런 에너지도 쓰지 않고 거대 ... ...
원자로 냉각의 한계를 넘어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고 냉각됐다.외벽 냉각기술이란 쉽게 말해서 불이 종이컵 안쪽에 있고, 물이
바깥
쪽에 있을 때 종이에 구멍이 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외벽 냉각기술은 우리나라 고유의 설계 기술로서 원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 시켜 앞으로 세계 여러 곳으로 우리원전을 수출하는데 크게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만들어지는 양이 가장 풍부하고 잘 보존되기 때문이다. 꽃가루나 포자의 세포벽 맨
바깥
껍질에는 ‘스포로폴레닌’(sporopollenin)이라는 단단한 물질이 들어 있다. 스포로폴레닌은 나무껍질에 들어 있는 수베린이나 큐틴과 비슷하지만 150°C의 고온도 버티고 황산, 염산에도 녹지 않을 만큼 화학적으로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엄청난 양의 전자와 원자핵이 거의 빛의 속도로 지구를 향해 ‘발사’된다. 우리 은하
바깥
에서는 초신성이나 블랙홀 주변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우주 방사선이 끊임없이 날아온다. 그런데도 인류가 별 문제 없이 살 수 있는 이유는 지구 자기장이 방사선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지구 궤도를 돌고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르는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우라늄235는 안쪽에, 우라늄238은
바깥
쪽에 모인다. 이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 우라늄235를 95% 이상으로 농축시킬 수 있다.북한은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파키스탄 핵무기의 아버지’로 불리는 압둘 카디르 칸 박사에게서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분비하도록 만드는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진피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인 표피와 피하지방 사이에 있는 층으로, 이 부분에 에크린땀샘과 아포크린땀샘이 있다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