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듄 신장판 전집프랭크 허버트 지음김승욱 옮김│황금가지376~944쪽│12만 원 때는 바야흐로 10191년, 우주의 많은 혹성을 지배하는 샤담 4세 황제가 군림하는 시대다. 지금 우주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라면 단연 오렌지빛 가스 물질인 ‘멜란지’다. 인간의 생명을 연장하고 인간의 의식 세계를 확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너무 추워요! 도와주세요!”얼굴이 새파랗게 질린 소녀가 꿀록 탐정 사무소의 문을 두드리며 외쳤어요. “누구세요? 추운데 일단 들어오시죠.”“이럴 시간이 없어요! 늦으면 눈의 여왕이 또 카이를 데려갈지도 몰라요. 빨리요!”소녀가 두터운 외투를 벗을 생각도 하지 않고 소리치자, 꿀록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요즘도 원주율을 구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좀 엉뚱한 방식으로요.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Logical)’은 원주율이 2임을 증명하는 영상, 5시간 동안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낭송하는 영상 등 엉뚱한 수학 영상을 창작하는 크리에이터입니다. 빠르게 지나가는 영상을 마주하면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조현영 기자가 세상의 모든 취미를 수학으로 리뷰하는 하비(hobby)맨으로 변신했다! 수학계의 중요한 기념일인 파이데이를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두 번째 취미는 파이 만들기로 정했다. 계란프라이밖에 하지 못하는 하비맨이 에그타르트의 일종인 ‘키슈’를 만들어 본다. ※ 편집자 주취미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러분! 제가 오랜 유학 생활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3월부터 서울대학교에서 수리과학분야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내게 됐어요. 제가 좋아하는 파이데이를 한국에서 보낼 수 있어서 더 기쁘네요. 제가 연구하는 군론도 파이데이에 빠질 수 없겠죠? 대칭을 연구하는 군론과 원의 관계를 함께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러분, 브로콜리 좋아하시나요? 브로콜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세부 구조가 전체의 모양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체의 모양을 닮은 부분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를 ‘프랙털’이라고 하죠.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바로 대표적인 프랙털 도형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시에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금까지 수많은 인공지능(AI)이 개발됐고, 사회, 정치, 경제 등 분야의 제한 없이 활용되고 있다. 허나 AI는 차가울 만큼 치우침 없는 판단을 내릴 것이라는 대중의 생각과 달리, AI가 실제로는 편향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번 드러나 논란을 겪었다. 대표 사례를 소개한다. 편향을 감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공지능(AI)이 공정하다 또는 편견을 갖는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 최근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AI의 편향성 논란을 철학적으로 점검하기 위해서는 AI의 공정성 또는 편견이라는 개념의 정의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실의 AI는 아직 공정함을 이해하지 못한다먼저 현재의 AI가 어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너구리는 원래 산림의 굴이나 바위틈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최근에는 도시화 때문에 마을까지 내려온 경우가 많은데, 컨테이너 밑의 좁은 틈이나 오래된 가옥의 보일러실에 터를 잡는 경우가 많다. 10년 전인 2011년 5월에도 도시의 틈에서 너구리 6마리가 태어났다.하지만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국인을 위한 지도를 만들고자 합니다.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 선생처럼 말이죠.”2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큐바이오 정밀의학 연구실에서 만난 김민식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미지의 신대륙을 탐험하며 지도로 만드는 ‘21세기의 김정호’였다. 다만 탐험하고 있는 대상이 광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